2025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

2025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100)로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 2.1% 상승하여 전월 2.1%와 동일한 상승세를 보였다.

2025년 3월 온라인쇼핑동향 및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

2025년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2조 4,163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6% 증가했으며, 온라인쇼핑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7조 2,435억원으로 4.8% 증가했다.

2025년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7,256억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8.3% 증가했고, 해외 직접 구매액은 1조 9,551억원으로 5.0% 증가했다.

2025년 3월 산업활동동향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9%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했다.

2025년 3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 15일, 3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205.8억 달러로 전년 동월(188.1억 달러) 대비 9.4%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22.1억 달러로 전년 동월(114.3억 달러) 대비 6.8% 늘어났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83.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2025년 1분기 자동차산업 동향

산업통상자원부는 25년 3월 자동차 생산량(+1.5%)·내수판매량(+2.4%)·수출액(금액기준 +1.2%, 수출량 기준 -2.4%)이 2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3월 자동차 수출액은 62.4억불을 달성하여 역대 3월 수출실적 중 2위를 기록하였다.

2025년 2월 온라인쇼핑동향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1조 616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5% 증가했으며, 온라인쇼핑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6조 1,308억원으로 3.8% 증가했다.

전월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3.9%,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6.7% 각각 감소했으며,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76.6%로 전년동월(76.4%)에 비해 0.2%p 증가했다.

2025년 2월 산업활동동향

전산업 생산은 서비스업, 광공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6% 증가했고, 소매판매는 통신기기·컴퓨터, 승용차 등에서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5%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늘어 전월대비 18.7%, 건설기성은 토목에서 공사실적이 늘어 전월대비 1.5% 각각 증가했다.

2024년 11월 농식품 수출 동향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11월말 기준 농식품(K-Food) 수출 누적액(잠정)이 지난해보다 8.1% 증가한 90억 5천만불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15개월 연속 성장세로, 역대 11월말 기준 최대 실적에 해당한다.

한국, FTSE Russell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FTSE Russell1은 미 동부 표준시 10.8.(화) 16:00 (한국시간 10.9.(수) 05:00), 「24년 10월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FTSE Fixed Income Country Classification Announcement October 2024)를 발표하였다. FTSE Russell은 이번 분류에서 한국을 세계국채지수2(WGBI)에 편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2024년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중동 정세 악화 및 미중 갈등 지속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FDI가 2년 연속 감소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24년 3분기 251.8억 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투자처로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를 이끌어 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의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대비 조선·반도체 업종 일자리는 증가하며 섬유·건설 업종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전자·철강·자동차·디스플레이·금융 및 보험 업종은 전년 동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