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동향
2025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2020=100)로 전월대비 0.2%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는 2.1% 상승하여 전월 2.2%보다 0.1%p 하락했다.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0% 각각 상승했다.
* 식료품 및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품목(458개 중 309개)으로 작성한 OECD 방식의 근원 물가지수로 1990년 1월 지수부터 제공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2.3% 상승했다.
* 곡물 제외 농산물 및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품목(458개 중 401개)으로 작성한 우리나라 방식의 근원 물가지수로 1975년 1월 지수부터 제공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2.5% 상승했다.
식품은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3.2% 각각 상승했다.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4% 하락, 전년동월대비 2.0% 상승했다.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2.2%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2.0% 상승, 전년동월대비 0.5% 하락했다.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0.7% 하락, 전년동월대비 7.6% 상승했다.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4.5% 상승, 전년동월대비 1.5% 하락했다.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1.8% 상승, 전년동월대비 3.9% 하락했다.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8% 각각 상승했다.
* 자신의 소유주택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는 서비스에 대한 지불 비용(자가주거비)을 포함하여 작성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지출목적별 동향
전월대비 교통(1.5%), 식료품·비주류음료(0.8%), 음식·숙박(0.6%), 오락·문화(0.6%)는 상승, 교육, 기타 상품·서비스, 통신, 주류·담배, 의류·신발, 보건은 변동 없고, 주택·수도·전기·연료(-1.2%), 가정용품·가사서비스(-0.1%)는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 식료품·비주류음료(3.5%), 음식·숙박(3.2%), 주택·수도·전기·연료(1.8%), 기타 상품·서비스(4.3%), 교육(2.6%), 가정용품·가사서비스(3.4%), 보건(1.2%), 의류·신발(1.8%), 오락·문화(0.6%), 주류·담배(0.2%)는 상승, 통신은 변동 없고, 교통(-0.2%)은 하락했다.
품목성질별 동향
상품은 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1.8%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2.1% 각각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1.6% 각각 상승했다.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5.3% 하락,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했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했다.
집세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0.8% 각각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4% 각각 상승했다.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3.1% 각각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 지역별 동향
지역별 소비자물가동향
전월대비 울산 0.4%, 부산, 세종은 0.3%, 서울, 인천, 경기, 경남, 제주는 0.2%, 대구, 대전, 충남, 전북, 전남, 경북은 0.1% 각각 상승했으며, 광주, 강원, 충북은 변동이 없었다. 전년동월대비 부산 2.3%, 세종, 경기, 경남은 2.2%, 서울, 인천,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남은 2.1%, 대구, 전북, 경북은 2.0%, 대전 1.9%, 광주, 제주는 1.7% 각각 상승했다.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동향
공공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서울 0.5%, 인천 0.3%, 경기 0.2%, 대전, 울산, 세종, 충남, 제주는 0.1% 각각 상승했으며, 부산, 대구, 광주,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은 변동이 없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세종 2.7%, 강원, 충북은 2.0%, 경기, 전남은 1.7%, 대전 1.6%, 서울 1.4%, 대구, 인천은 1.3%, 충남, 경북, 제주는 1.2%, 부산 1.1%, 전북, 경남은 0.8%, 광주 0.6%, 울산 0.4% 각각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부산, 세종, 강원, 전남은 0.5%, 서울, 대구, 인천, 대전, 울산, 경기, 충남, 경북, 제주는 0.4%, 광주, 충북, 전북, 경남은 0.3% 각각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부산 3.6%, 충남 3.5%, 세종, 충북은 3.4%, 강원, 전남은 3.3%, 인천, 경남은 3.2%, 서울, 경기는 3.1%, 전북 3.0%, 울산, 경북은 2.8%, 대구 2.7%, 광주 2.5%, 대전 2.4%, 제주 1.8% 각각 상승했다.

본 저작물은 통계청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025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통계청 누리집(https://www.kosta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