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온라인쇼핑동향
2025년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2조 4,163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6% 증가했으며, 온라인쇼핑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7조 2,435억원으로 4.8% 증가했다. 전월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6.3%,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6.9% 각각 증가했으며,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76.9%로 전년동월(75.3%)에 비해 1.6%p 증가했다.
상품군별 거래액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이쿠폰서비스(-44.6%) 등에서 감소했으나, 음식서비스(14.6%), 음‧식료품(9.8%), 농축수산물(11.3%) 등에서 증가했다. 전월대비로는 통신기기(-42.1%) 등에서 감소했으나, 의복(25.4%), 음식서비스(9.1%) 등에서 증가했다. 상품군별 거래액 구성비는 음식서비스(15.0%), 음‧식료품(13.8%), 여행 및 교통서비스(11.9%) 순으로 높았다.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전년동월비) 증감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이쿠폰서비스(-30.9%) 등에서 감소했으나, 음식서비스(14.9%), 음·식료품(12.5%), 농축수산물(13.1%) 등에서 증가했다. 전월대비로는 통신기기(-39.3%) 등에서 감소했으나, 의복(28.2%), 음식서비스(9.1%) 등에서 증가했다. 상품군별 거래액 구성비는 음식서비스(19.3%), 음‧식료품(14.2%), 여행 및 교통서비스(11.1%) 순으로 높았다.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전년동월비) 증감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음식서비스(99.1%), 이쿠폰서비스(88.8%), 애완용품(81.6%) 순으로 높았다. 전년동월대비 의복(-3.9%p) 등에서 감소했으나, 이쿠폰서비스(17.5%p),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8.4%p) 등에서 증가했다. 전월대비로는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3.5%p) 등에서 감소했으나, 신발(12.3%p), 문화 및 레저서비스(4.8%p) 등에서 증가했다.
취급상품범위별 및 운영형태별 거래액
온라인쇼핑 취급상품범위별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종합몰은 0.5% 감소한 12조 6,035억원을, 전문몰은 6.9% 증가한 9조 8,128억원을 기록했다. 전월대비 종합몰은 6.8%, 전문몰은 5.6% 각각 증가했다.
온라인쇼핑 운영형태별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온라인몰은 4.0% 증가한 17조 4,785억원을, 온·오프라인병행몰은 1.9% 감소한 4조 9,379억원을 기록했다. 전월대비 온라인몰은 6.6%, 온·오프라인병행몰은 5.4% 각각 증가했다.

2025년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
2025년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7,256억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8.3% 증가했고, 해외 직접 구매액은 1조 9,551억원으로 5.0% 증가했다.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 중 면세점 판매액은 3,047억원으로 27.0% 증가했다. 전분기대비 해외 직접 판매액은 3.6% 증가(면세점 판매액은 34.3% 증가)했고, 해외 직접 구매액은 11.9% 감소했다.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 및 구매액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지역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
2025년 1/4분기 지역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중국 3,671억원, 미국 1,435억원, 일본 1,389억원 순으로 많았다. 전년동분기대비 아세안(-9.4%)에서 감소했으나, 중국(36.7%), 미국(35.1%), 일본(14.9%) 등에서 증가했다. 전분기대비 일본(-13.5%) 등에서 감소했으나, 중국(26.2%), 대양주(34.0%) 등에서 증가했다. 면세점 판매액은 중국 2,887억원, 아세안 96억원, 일본 32억원 순으로 많았다.
상품군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
2025년 1/4분기 상품군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화장품 4,145억원,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824억원, 음반‧비디오‧악기 672억원 순으로 많았다. 전년동분기대비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9.7%) 등에서 감소했으나, 화장품(31.8%), 음반‧비디오‧악기(31.8%), 생활·자동차용품(116.0%) 등에서 증가했다. 전분기대비 컴퓨터 및 주변기기(-47.9%) 등에서 감소했으나, 화장품(13.0%), 생활·자동차용품(40.9%) 등에서 증가했다. 면세점 판매액은 화장품 2,609억원,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254억원, 음·식료품 149억원 순으로 많았다.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
지역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
2025년 1/4분기 지역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중국 1조 2,205억원, 미국 3,588억원, 일본 1,416억원 순으로 많았다. 전년동분기대비 미국(-19.2%) 등에서 감소했으나, 중국(19.5%), 아세안(73.9%), 일본(7.2%) 등에서 증가했다. 전분기대비 아세안(92.3%) 등에서 증가했으나, 중국(-11.9%), 미국(-15.4%) 등에서 감소했다.
상품군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
2025년 1/4분기 상품군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8,152억원, 음·식료품 3,883억원, 생활·자동차용품 1,940억원 순으로 많았다. 전년동분기대비 스포츠‧레저용품(-14.2%) 등에서 감소했으나, 생활·자동차용품(33.5%), 화장품(19.7%), 아동·유아용품(26.1%) 등에서 증가했다. 전분기대비 음‧식료품(3.0%) 등에서 증가했으나,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20.7%), 스포츠‧레저용품(-20.4%) 등에서 감소했다.

본 저작물은 통계청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025년 3월 온라인쇼핑동향 및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통계청 누리집(https://www.kosta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