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6월 3주(6월 1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5% 상승, 전세가격은 0.01% 상승을 기록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5%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3%) 대비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09%→0.13%) 및 서울(0.26%→0.36%)은 상승폭 확대, 지방(-0.03%→-0.03%)은 하락폭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전북(0.04%), 경기(0.03%), 충북(0.03%), 인천(0.01%) 등은 상승, 울산(0.00%)은 보합, 경북(-0.06%), 광주(-0.06%), 전남(-0.05%), 대구(-0.05%), 부산(-0.05%)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13%
서울 : 0.26% → 0.36%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도 희망가격 상승하고 매수문의 많아지고 있으며, 상승 거래 사례 포착되는 등 서울은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북 14개구 : 0.24%
성동구(0.76%)는 금호·하왕십리동 선호단지 위주로, 마포구(0.66%)는 아현·염리동 위주로, 용산구(0.61%)는 이촌·이태원동 위주로, 광진구(0.42%)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종로구(0.26%)는 홍파·무악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46%
강남구(0.75%)는 압구정·대치동 재건축 추진단지 위주로, 송파구(0.70%)는 신천·잠실동 위주로, 강동구(0.69%)는 명일·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서초구(0.65%)는 잠원·서초동 위주로, 동작구(0.49%)는 흑석·노량진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0% → 0.01%
연수구(-0.11%)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송도·동춘동 위주로, 중구(-0.09%)는 운서·운남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9%)는 청라·검암동 위주로, 남동구(0.06%)는 간석·서창동 위주로, 부평구(0.03%)는 부개·삼산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은 전체적으로 상승 전환됐다.
경기 : 0.02% → 0.03%
평택시(-0.19%)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동삭·세교동 위주로, 김포시(-0.13%)는 걸포·구래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분당구(0.60%)는 정비사업 추진중인 서현·분당동 위주로, 과천시(0.48%)는 원문·부림동 주요단지 위주로, 용인 수지구(0.20%)는 풍덕천·성복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3%
5대광역시 : -0.05% → -0.04%
광주 : -0.07% → -0.06%
동구(-0.18%)는 산수·월남동 위주로, 서구(-0.09%)는 금호·풍암동 구축 위주로, 광산구(-0.05%)는 우산·산정동 위주로, 남구(-0.04%)는 봉선동 위주로 하락했다.
대구 : -0.06% → -0.05%
서구(-0.11%)는 중리·내당동 위주로, 남구(-0.10%)는 매물적체 영향있는 대명동 구축 위주로, 달서구(-0.07%)는 본리·도원동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18% → 0.10%
아름동·한솔동 학군지 및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8개도 : -0.02% → -0.02%
경북 : -0.05% → -0.06%
포항 북구(-0.12%)는 용흥·환호동 위주로, 포항 남구(-0.11%)는 오천·연일읍 및 지곡동 위주로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3%→0.03%)은 상승폭 유지, 서울(0.08%→0.07%)은 상승폭 축소, 지방(-0.02%→-0.01%)은 하락폭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5%), 부산(0.04%), 경기(0.02%), 전북(0.01%) 등은 상승, 광주(0.00%), 충북(0.00%), 충남(0.00%) 등은 보합, 대전(-0.09%), 경북(-0.06%), 강원(-0.06%), 제주(-0.04%)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03%
서울 : 0.08% → 0.07%
일부 외곽지역 및 입주물량 영향있는 지역에서 전세가격 하락하였으나, 대단지 및 교통여건 양호한 단지에서 임차수요 꾸준하며 상승계약 체결되는 등 서울은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북 14개구 : 0.05%
성동구(-0.02%)는 옥수·응봉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진구(0.13%)는 자양·구의동 주요단지 위주로, 종로구(0.09%)는 창신·숭인동 위주로, 용산구(0.09%)는 이촌·이태원동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06%)는 상계·하계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08%
서초구(-0.07%)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30%)는 고덕·명일동 학군지 위주로, 동작구(0.15%)는 흑석·상도동 주요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14%)는 영등포·여의도동 위주로, 송파구(0.12%)는 문정·잠실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1% → -0.03%
남동구(0.01%)는 주거환경 양호한 만수·간석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구(-0.11%)는 송도·동춘동 위주로, 중구(-0.06%)는 중산·운서동 준신축 위주로, 서구(-0.04%)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미추홀구(-0.02%)는 입주물량 예정된 주안·용현동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 : 0.02% → 0.02%
광명시(-0.18%)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하안·광명동 위주로, 수원 팔달구(-0.10%)는 화서·우만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2%)는 중앙·원문동 주요단지 위주로, 안양 동안구(0.24%)는 주거환경 우수한 평촌·비산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22%)는 서현·수내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1%
5대광역시 : -0.01% → 0.00%
부산 : 0.02% → 0.04%
강서구(-0.25%)는 명지·지사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하락했으나, 수영구(0.14%)는 남천동 대단지 및 민락동 준신축 위주로, 남구(0.12%)는 대연·용호동 위주로 상승했다.
대전 : -0.11% → -0.09%
유성구(-0.19%)는 관평·봉명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서구(-0.07%)는 둔산·관저동 대단지 위주로, 중구(-0.07%)는 중촌·목·유천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08% → 0.11%
도담·새롬동·조치원읍 위주로 상승하며, 세종은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8개도 : -0.03% → -0.02%
경북 : -0.05% → -0.06%
문경시(0.19%)는 모전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구미시(-0.19%)는 고아읍·옥계동 위주로 하락했다.
※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50616기준)’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