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둘째주 아파트 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8월 2주(8월 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상승, 전세가격은 0.01% 상승을 기록했다.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5%→0.04%) 및 서울(0.14%→0.10%)은 상승폭이 축소되고, 지방(-0.03%→-0.01%)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전북(0.05%), 충북(0.03%), 울산(0.02%), 경기(0.01%) 등은 상승, 대구(-0.07%), 전남(-0.05%), 인천(-0.04%), 대전(-0.03%), 광주(-0.03%)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04%

서울 : 0.14% → 0.10%

재건축 추진 단지 및 학군지 등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고 전반적인 매수 문의가 감소하면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북 14개구 : 0.06%

성동구(0.24%)는 응봉·옥수동 위주로, 용산구(0.13%)는 이촌·문배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광진구(0.13%)는 광장·자양동 학군지 위주로, 마포구(0.11%)는 성산‧도화동 위주로, 동대문구(0.08%)는 답십리‧전농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14%

송파구(0.31%)는 신천·문정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서초구(0.16%)는 서초‧잠원동 주요 단지 위주로, 양천구(0.13%)는 목‧신월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강남구(0.13%)는 개발 기대감 있는 대치‧개포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2% → -0.04%

서구(-0.07%)는 청라·당하동 신도시 위주로, 연수구(-0.07%)는 송도·동춘동 대단지 위주로, 부평구(-0.02%)는 부개·삼산동 소형 규모 위주로, 남동구(-0.02%)는 구월·논현동 위주로, 중구(-0.02%)는 운서동·항동7가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 : 0.02% → 0.01%

평택시(-0.16%)는 서정·비전동 위주로, 파주시(-0.08%)는 동패동·문산읍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22%)는 원문·별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분당구(0.19%)는 정자·수내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18%)는 평촌·호계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1%

5대광역시 : -0.03% → -0.03%

대구 : -0.07% → -0.07%

달서구(-0.14%)는 월성·이곡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남구(-0.12%)는 대명·봉덕동 구축 위주로, 북구(-0.11%)는 구암·읍내동 위주로 하락했다.

대전 : -0.03% → -0.03%대덕구(-0.05%)는 매물 적체 영향있는 송촌·법동 위주로, 동구(-0.05%)는 대성·판암동 구축 위주로, 서구(-0.02%)는 갈마·둔산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09% → 0.03%

고운‧소담동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상승폭이 축소되는 흐름을 보였다.

8개도 : -0.03% → -0.01%

전남 : -0.05% → -0.05%

광양시(-0.13%)는 중동·광양읍 대단지 위주로, 나주시(-0.08%)는 대호·송월동 위주로 하락했다.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2%→0.02%) 및 서울(0.05%→0.05%)은 상승폭이 유지되고, 지방(0.00%→0.00%)은 보합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8%), 부산(0.04%), 전북(0.03%), 경기(0.02%) 등은 상승, 전남(-0.05%), 대전(-0.05%), 인천(-0.04%), 제주(-0.03%), 경북(-0.02%)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02%

서울 : 0.05% → 0.05%

일부 입주물량 영향 지역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들을 중심으로 임차수요가 지속되고 매물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등 서울지역은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북 14개구 : 0.04%

광진구(0.09%)는 자양·구의동 위주로, 성북구(0.06%)는 길음·돈암동 대단지 위주로, 용산구(0.05%)는 이촌·문배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도봉구(0.05%)는 창·도봉동 위주로, 노원구(0.04%)는 상계·월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07%

서초구(-0.10%)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16%)는 문정·방이동 구축 위주로, 강동구(0.14%)는 둔촌·강일동 위주로, 강서구(0.09%)는 가양·화곡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5% → -0.04%

중구(0.07%)는 중산·운서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15%)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계양구(-0.04%)는 작전·효성동 구축 위주로, 연수구(-0.02%)는 송도·옥련동 중형 규모 위주로, 미추홀구(-0.02%)는 용현·학익동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 : 0.01% → 0.02%

고양 일산서구(-0.13%)는 주엽·일산동 구축 위주로, 시흥시(-0.10%)는 은행·정왕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주시(0.26%)는 태전·고산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하남시(0.24%)는 학암·창우동 위주로, 과천시(0.20%)는 중앙·별양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0%

5대광역시 : 0.02% → 0.01%

울산 : 0.05% → 0.08%

남구(0.12%)는 무거·신정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중구(0.07%)는 태화·우정동 준신축 위주로, 북구(0.07%)는 매곡·중산동 위주로 상승했다.

부산 : 0.05% → 0.04%

수영구(0.15%)는 광안·남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연제구(0.10%)는 연산·거제동 대단지 위주로, 동래구(0.10%)는 사직·안락동 위주로 상승했다.

세종 : 0.11% → 0.06%

고운‧종촌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8개도 : -0.01% → -0.01%

전남 : -0.04% → -0.05%

여수시(-0.12%)는 웅천·국동 위주로, 광양시(-0.08%)는 중동·광양읍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50811기준)’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