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5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6월 5주(6월 3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7% 상승, 전세가격은 0.02% 상승을 기록했다.

전국 : 0.07%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6%) 대비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6%→0.17%)은 상승폭 확대, 서울(0.43%→0.40%)은 상승폭 축소, 지방(-0.03%→-0.02%)은 하락폭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경기(0.09%), 전북(0.05%), 충북(0.04%), 울산(0.03%) 등은 상승, 충남(0.00%)은 보합, 전남(-0.08%), 경북(-0.06%), 광주(-0.06%), 대구(-0.06%), 제주(-0.05%)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17%

서울 : 0.43% → 0.40%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주요단지 등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선호지역 내 매수문의가 감소하면서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폭은 소폭 축소됐다.

강북 14개구 : 0.30%

성동구(0.89%)는 행당·하왕십리동 역세권위주로, 마포구(0.85%)는 성산·신공덕동 주요단지 위주로, 용산구(0.58%)는 이촌·문배동 위주로, 광진구(0.49%)는 광장·자양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종로구(0.24%)는 창신·홍파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50%

송파구(0.75%)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강남구(0.73%)는 압구정·개포동 재건축 예정 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66%)는 신길·여의도동 역세권 위주로, 서초구(0.65%)는 서초·반포동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전주 대비 상승폭은 축소됐다.

인천 : 0.01% → -0.02%

남동구(0.07%)는 서창·만수동 신축 위주로, 동구(0.02%)는 송림·만석동 주요단지 위주로, 연수구(0.02%)는 송도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12%)는 청라·원당동 위주로, 미추홀구(-0.05%)는 주안·용현동 구축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적으로는 하락세로 전환됐다.

경기 : 0.05% → 0.09%

고양 일산동구(-0.18%)는 식사·백석동 위주로, 평택시(-0.13%)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합정·칠원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분당구(1.17%)는 정비사업 추진중인 수내·분당동 위주로, 과천시(0.98%)는 원문·별양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37%)는 평촌·관양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2%

5대광역시 : -0.05% → -0.04%

광주 : -0.07% → -0.06%

서구(-0.08%)는 치평·금호동 위주로, 광산구(-0.07%)는 월계·산정동 구축 위주로, 남구(-0.07%)는 진월·봉선동 위주로 하락했다.

대구 : -0.07% → -0.06%

남구(-0.19%)는 봉덕·대명동 구축위주로, 서구(-0.12%)는 평리·중리동 위주로, 북구(-0.10%)는 복현·동천동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04% → 0.02%

지역·단지별 혼조세를 보이며, 세종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8개도 : -0.02% → -0.01%

전남 : -0.05% → -0.08%

광양시(-0.12%)는 중동 및 광양읍 구축 대단지 위주로, 여수시(-0.09%)는 국·신월동 위주로 하락했다.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4%→0.05%)은 상승폭 확대, 서울(0.09%→0.07%)은 상승폭 축소, 지방(-0.01%→-0.01%)은 하락폭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7%), 경기(0.05%), 부산(0.02%) 등은 상승, 충북(0.00%), 전북(0.00%)은 보합, 대전(-0.08%), 대구(-0.05%), 제주(-0.04%), 충남(-0.04%), 강원(-0.04%)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05%

서울 : 0.09% → 0.07%

일부 입주물량 영향있는 지역 및 구축 단지 등에서 전세가격 하락하였으나, 교통 및 학군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전세수요 꾸준하고 상승계약 이어지며 서울 전체 상승했다.

강북 14개구 : 0.06%

성동구(0.00%)는 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며 보합이나, 광진구(0.13%)는 광장·자양동 학군지 위주로, 용산구(0.11%)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노원구(0.09%)는 상계·하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종로구(0.07%)는 홍파·숭인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08%

서초구(-0.15%)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32%)는 둔촌·고덕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16%)는 상도·사당동 위주로, 영등포구(0.11%)는 대림·당산동 역세권 위주로, 송파구(0.11%)는 잠실·장지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0% → -0.01%

남동구(0.09%)는 만수·구월동 신축 위주로, 계양구(0.03%)는 병방·작전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구(-0.08%)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송도·동춘동 위주로, 서구(-0.03%)는 신현·당하동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주안·학익동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적으로 하락세로 전환됐다.

경기 : 0.03% → 0.05%

고양 일산동구(-0.20%)는 식사·백석동 구축 위주로, 광명시(-0.11%)는 하안·소하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8%)는 별양·원문·중앙동 선호단지 위주로, 안양 동안구(0.24%)는 비산·관양동 위주로, 하남시(0.20%)는 정주여건 양호한 창우·덕풍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1%

5대광역시 : 0.00% → -0.01%

대전 : -0.10% → -0.08%

중구(-0.15%)는 목·오류동 대단지 위주로, 서구(-0.07%)는 월평·내동 위주로, 동구(-0.07%)는 판암·홍도동 위주로 하락했다.

대구 : -0.01% → -0.05%

북구(-0.12%)는 복현·검단동 위주로, 수성구(-0.07%)는 범어·신매동 위주로, 서구(-0.04%)는 내당·비산동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13% → 0.01%

외곽지역 중심으로 하락했으나, 다정·새롬동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8개도 : -0.02% → -0.02%

제주 : -0.04% → -0.04%

서귀포시(-0.08%)는 동홍·강정동 위주로, 제주시(-0.03%)는 지역별 혼조세 보이며 노형·외도일동 위주로 하락했다.

※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20250630기준)’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