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넷째주 아파트 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10월 4주(10월 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7% 상승, 전세가격은 0.07% 상승을 기록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7%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12%) 대비 상승했다. 수도권(0.25%→0.14%) 및 서울(0.50%→0.23%)은 상승했고, 지방(0.00%→0.00%)은 보합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경기(0.12%), 울산(0.09%), 전북(0.08%), 경북(0.03%) 등은 상승, 광주(0.00%)는 보합, 제주(-0.06%), 대전(-0.05%), 전남(-0.04%), 대구(-0.04%)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14%

서울 : 0.50% → 0.23%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상승하였으나, 매수문의 및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을 관망하는 분위기가 나타나는 가운데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강북 14개구 : 0.14%

성동구(0.37%)는 행당·금호동 위주로, 마포구(0.32%)는 도화·염리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중구(0.30%)는 신당·중림동 대단지 위주로, 용산구(0.29%)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서대문구(0.22%)는 북아현‧남가좌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31%

송파구(0.48%)는 신천·가락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동작구(0.44%)는 사당‧흑석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42%)는 암사‧고덕동 대단지 위주로, 양천구(0.38%)는 목‧신정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2% → 0.02%

중구(-0.02%)는 운남·중산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동구(0.07%)는 송림·송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남동구(0.04%)는 간석·구월동 역세권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용현·학익동 위주로, 연수구(0.03%)는 연수·동춘동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 : 0.16% → 0.12%

이천시(-0.15%)는 부발읍 및 증포동 위주로, 여주시(-0.11%)는 교동 신축 및 월송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남 분당구(0.82%)는 정자·서현동 주요 단지 위주로, 과천시(0.58%)는 부림·원문동 위주로, 하남시(0.57%)는 학암·망월동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0%

5대광역시 : 0.00% → 0.00%

울산 : 0.11% → 0.09%

남구(0.13%)는 야음·옥동 중형 규모 위주로, 동구(0.12%)는 서부·화정동 위주로, 북구(0.09%)는 신천·명촌동 위주로, 중구(0.05%)는 약사·유곡동 위주로 상승했다.

대전 : -0.04% → -0.05%

유성구(-0.07%)는 계산·신성동 구축 위주로, 중구(-0.06%)는 목·문화동 위주로, 동구(-0.06%)는 낭월·홍도동 위주로, 대덕구(-0.03%)는 송촌·비래동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01% → -0.09%

도담·어진동 위주로 관망 심리가 보이는 등 준신축단지 위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8개도 : 0.00% → 0.01%

전북 : 0.05% → 0.08%

전주 완산구(0.20%)는 서신동 및 효자동2가 위주로, 전주 덕진구(0.20%)는 우아동3·호성동1가 위주로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7%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6%) 대비 상승했다. 수도권(0.09%→0.10%), 서울(0.13%→0.14%) 및 지방(0.03%→0.03%)은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경기(0.09%), 울산(0.09%), 부산(0.08%), 인천(0.05%) 등은 상승, 전남(0.00%)은 보합, 제주(-0.04%), 충남(-0.02%), 강원(-0.01%)은 하락했다.

수도권 : 0.10%

서울 : 0.13% → 0.14%

매물부족 현상이 계속 되면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역세권·대단지 등 주요 단지 위주로 수요가 지속되는 등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강북 14개구 : 0.09%

용산구(0.19%)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성동구(0.16%)는 행당·하왕십리동 위주로, 성북구(0.12%)는 길음·돈암동 대단지 위주로, 중구(0.11%)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도봉구(0.10%)는 창·방학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 0.18%

송파구(0.33%)는 잠실·방이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33%)는 둔촌·암사동 위주로, 양천구(0.21%)는 목·신정동 위주로, 서초구(0.16%)는 잠원·서초동 구축 위주로, 영등포구(0.14%)는 신길·당산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05% → 0.05%

중구(-0.03%)는 운남·운서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13%)는 왕길·청라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동구(0.09%)는 송현·만석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남동구(0.04%)는 간석·구월동 대단지 위주로, 부평구(0.04%)는 삼산·청천동 위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경기 : 0.09% → 0.09%

이천시(-0.11%)는 부발읍 및 관고동 구축 위주로, 부천 오정구(-0.06%)는 여월·원종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하남시(0.40%)는 학암·망월동 선호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34%)는 신흥·창곡동 대단지 위주로, 수원 영통구(0.33%)는 망포·매탄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 0.03%

5대광역시 : 0.04% → 0.05%

울산 : 0.09% → 0.09%

남구(0.15%)는 신정·달동 중형 규모 위주로, 동구(0.11%)는 서부·동부동 위주로, 북구(0.09%)는 산하·화봉동 위주로, 중구(0.04%)는 약사·우정동 위주로 상승했다.

부산 : 0.06% → 0.08%

남구(0.19%)는 대연·용호동 위주로, 북구(0.13%)는 구포·만덕동 위주로, 동래구(0.12%)는 사직·안락동 대단지 위주로, 부산진구(0.09%)는 양정·범천동 위주로 상승했다.

세종 : 0.26% → 0.13%

지역별 혼조세를 보이면서, 소담·도담동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8개도 : 0.01% → 0.01%

충북 : 0.01% → 0.04%

청주 흥덕구(0.15%)는 가경·비하동 선호단지 위주로, 충주시(0.04%)는 교현·용산동 위주로 상승했다.

※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51027기준)’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