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 소재 재건축, 역세권, 신축 단지 등은 매수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나, 그 외 단지는 관망세가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매매는 구축‧외곽 단지 수요 감소, 국지적인 매물 적체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지역과 재건축, 각종 개발사업 이슈로 가격상승 기대감이 고조되는 지역이 혼조세를 보이며 전국 상승폭은 축소되었고, 전·월세는 입주 물량 증가 지역, 갱신계약 비율이 많은 외곽지역은 하락세이나, 주택 매수심리 위축에 따른 임대차 계약 선호 증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며, 전‧월세 모두 상승폭 확대중”이라고 밝혔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12%
전국은 0.12%로 전월 대비(0.14%)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37%→0.33%) 및 서울(0.95%→0.75%)은 상승폭 축소, 지방(-0.09%→-0.08%)은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
서울(0.75%)은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거래가격 상승하였으나, 전반적인 관망세 지속 및 수요 위축 등으로 상승폭 축소. 경기(0.16%)는 성남 분당구·과천시·안양 동안구 위주로 상승, 인천(-0.08%)은 중·연수·미추홀구 위주로 하락
서울 강북14개구
성동구(2.07%)는 행당·옥수동 역세권 위주로, 용산구(1.48%)는 도원·이촌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1.37%)는 대흥·공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광진구(0.79%)는 광장·자양동 학군지 위주로, 중구(0.53%)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상승
서울 강남11개구
영등포구(1.34%)는 여의도·신길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1.28%)는 잠실·송파동 재건축 추진단지 위주로, 양천구(1.26%)는 목·신정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1.24%)는 압구정·개포동 구축 위주로, 서초구(1.13%)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상승
지방
세종(0.04%)은 새롬·아름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구(-0.28%)는 달서·북·남구 구축 위주로, 대전(-0.21%)은 유성구 중대형 규모 및 서구 위주로, 제주(-0.14%)는 매수수요 감소하며 서귀포시 위주로 하락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04%
전국은 0.04%로 전월 대비(0.03%)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1%→0.11%) 및 서울(0.24%→0.24%)은 상승폭 유지, 지방(-0.04%→-0.03%)은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
서울(0.24%)은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재된 가운데, 역세권 및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체결되며 상승 지속. 경기(0.08%)는 고양 일산동구·평택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안양 동안·수원 영통구 위주로 상승. 인천(-0.11%)은 서·미추홀구 중형 규모 위주로 하락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51%)는 이촌동 및 한강로3가 주요단지 위주로, 성동구(0.30%)는 하왕십리·옥수동 위주로, 광진구(0.29%)는 자양·광장동 위주로, 노원구(0.26%)는 상계·공릉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도봉구(0.19%)는 창·쌍문동 위주로 상승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36%)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74%)는 잠실·문정동 대단지 위주로, 강동구(0.63%)는 암사·명일동 위주로, 동작구(0.42%)는 흑석·상도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33%)는 당산동5가 및 여의도동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지방
대전(-0.22%)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있는 서구 및 유성구 중대형 규모 위주로, 제주(-0.14%)는 서귀포·제주시 소규모 단지 위주로, 대구(-0.13%)는 북·달서‧중구 위주로, 충남(-0.09%)은 당진시 및 천안 동남구 구축 위주로 하락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9%
전국은 0.09%로 전월 대비(0.06%)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2%→0.15%)은 상승폭 확대, 서울(0.24%→0.23%)은 상승폭 축소, 지방(0.00%→0.03%)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됐다.
수도권
서울(0.23%)은 월세 선호 현상으로 매물 부족 지속되고,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 경기(0.11%)는 평택‧광명시 등 하락했으나, 하남시·수원 팔달구 위주로 상승, 인천(0.09%)은 남동·부평구 위주로 상승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56%)는 한강로2가·이촌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노원구(0.34%)는 상계·월계동 역세권 위주로, 서대문구(0.30%)는 남가좌·북가좌동 대단지 위주로, 광진구(0.27%)는 구의·광장동 위주로, 성북구(0.26%)는 정릉·하월곡동 위주로 상승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0.51%)는 잠실·가락동 위주로, 강동구(0.35%)는 고덕·둔촌동 대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34%)는 신길·대림동 위주로, 강서구(0.23%)는 염창·화곡동 역세권 위주로, 관악구(0.22%)는 봉천·신림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
지방
대구(-0.12%)는 달서·중구 위주로, 대전(-0.09%)은 중‧동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울산(0.22%)은 동구 대단지 및 북구 위주로, 충북(0.09%)은 청주 흥덕구·제천시 위주로, 세종(0.02%)은 반곡‧아름동 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하며 보합에서 상승 전환
주택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5.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