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 소재 신축‧재건축 단지 등에 대한 매수 문의는 꾸준한 편이나, 구축‧외곽지역 소재 단지 등은 거래가 다소 한산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매매는 서울·수도권에서 신축‧재건축 수혜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기도 하나, 그 외 단지는 관망심리로 계약체결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지방도 구축 단지에 대한 수요 감소 등으로 전국 하락세 유지하였으며, 전·월세는 역세권, 학군지 등을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주여건이 다소 열세한 외곽지역이나 노후화 단지에서는 하락세를 보이는 등 전세는 보합 유지, 월세는 상승폭 유지중”이라고 밝혔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02%

전국은 -0.02%로 전월 대비(-0.02%) 하락폭 유지됐다. 수도권(0.07%→0.10%) 및 서울(0.25%→0.38%)은 상승폭 확대, 지방(-0.11%→-0.12%)은 하락폭 확대됐다.

수도권

서울(0.38%)은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초·송파·강남구 위주로 상승하며 지난달 대비 상승폭 확대. 경기(-0.05%)는 과천시·성남 분당구에서 상승했으나, 평택시·고양 일산동구에서 하락, 인천(-0.07%)은 연수·계양·동구 위주로 하락 지속

서울 강북14개구

성동구(0.65%)는 금호·성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용산구(0.62%)는 이촌·산천동 위주로, 마포구(0.62%)는 아현·염리동 준신축 위주로, 광진구(0.30%)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종로구(0.28%)는 평·충신동 위주로 상승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95%)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송파구(0.92%)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강남구(0.84%)는 압구정·대치동 위주로, 양천구(0.66%)는 목·신정동 위주로, 강동구(0.61%)는 고덕·명일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

지방

세종(1.45%)은 다정·새롬동 학군지 및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구(-0.41%)는 북구 중소형 규모 및 달서구 위주로, 광주(-0.28%)는 동구 및 서구 구축 위주로, 경북(-0.18%)은 경산시·포항 남구 위주로 하락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00%

전국은 0.00%로 전월 대비(0.00%) 보합 유지됐다. 수도권(0.05%→0.06%) 및 서울(0.09%→0.1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5%→-0.05%)은 하락폭 유지됐다.

수도권

서울(0.15%)은 정주여건 양호한 역세권·학군지·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 이어지며 서울 전체 상승폭 확대. 경기(0.04%)는 광명·평택시·부천 소사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안양 동안·용인 수지구 위주로 상승. 인천(-0.07%)은 계양·남동구 위주로 상승했으나, 연수·서구에서 하락

서울 강북14개구

강북구(-0.05%)는 수유·미아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0.23%)는 도원·이태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노원구(0.17%)는 중계·공릉동 역세권 위주로, 종로구(0.16%)는 무악·창신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마포구(0.16%)는 염리·아현동 위주로 상승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14%)는 잠원·서초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42%)는 고덕·둔촌동 신축 위주로, 송파구(0.37%)는 방이·잠실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26%)는 대림·여의도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20%)는 목·신월동 위주로 상승

지방

대전(-0.31%)은 유성·중·서구 구축 및 대단지 위주로, 제주(-0.16%)는 서귀포·제주시 소형 규모 위주로, 대구(-0.13%)는 달성군 외곽지역 및 북·서구 위주로, 강원(-0.13%)은 속초·원주·동해시 위주로 전세 수요 감소하며 하락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5%

전국은 0.05%로 전월 대비(0.05%)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9%→0.10%), 서울(0.10%→0.16%)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1%)은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

서울(0.16%)은 경기 침체, 대출 규제 등 영향으로 월세 선호 현상 지속되며 상승폭 확대. 경기(0.06%)는 평택·김포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광주시·성남 수정구 위주로 상승, 인천(0.04%)은 서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계양·남동·중구 위주로 상승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34%)는 정주여건 양호한 이촌·문배동 위주로, 마포구(0.23%)는 성산·망원동 위주로, 종로구(0.21%)는 숭인동 위주로, 중구(0.21%)는 신당·묵정동 위주로 상승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0.38%)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27%)는 신길·여의도동 위주로, 강서구(0.23%)는 화곡동 및 가양·등촌·방화동 역세권 위주로, 양천구(0.16%)는 목·신정동 위주로 상승

지방

대구(-0.13%)는 북·중구 위주로 하락했으나, 울산(0.19%)은 북·남구 위주로, 광주(0.18%)는 남·북구 위주로 상승하면서, 5대광역시 보합에서 상승 전환. 충북(0.06%)·세종(0.05%)은 상승 유지했으나, 제주(-0.17%)는 하락폭 유지, 충남(-0.16%)은 하락폭 확대, 강원(-0.02%)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하면서, 8개도 상승에서 하락 전환

주택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5.5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