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 내 재건축 예정단지 등 선호단지는 매수 문의가 꾸준하나, 그 외 구축, 정주여건 열세 단지 등은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매매는 서울·수도권에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나, 지방은 정비사업 추진 지연, 매물 적체 등이 관측되는 지역이 혼재하는 가운데, 전국 상승 전환되었으며, 전·월세는 학군지, 재건축 이주수요 단지 등을 위주로 상승세를 보이나, 외곽지역, 공급 과다 지역에서는 하락세를 보이는 등 전세는 상승 전환, 월세는 상승폭 유지중”이라고 밝혔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01%

전국은 0.01%로 전월 대비(-0.06%) 하락에서 상승 전환됐다. 수도권(-0.01%→0.15%)은 하락에서 상승 전환, 서울(0.18%→0.52%)은 상승폭 확대, 지방(-0.10%→-0.12%)은 하락폭 확대됐다.

수도권

서울(0.52%)은 지역·단지별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강남·송파·서초구 위주로 상승하며 지난달 대비 상승폭 확대. 경기(-0.02%)는 과천시·용인 수지구에서 상승했으나, 광명·김포·평택시에서 하락, 인천(-0.16%)은 연수·서·계양구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서울 강북14개구

노원구(-0.01%)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성동구(0.90%)는 금호·행당동 역세권 위주로, 용산구(0.67%)는 이촌동·한강로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0.58%)는 아현·염리동 위주로, 광진구(0.42%)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상승했다.

서울 강남11개구

강남구(2.00%)는 압구정·대치·개포동 위주로, 송파구(1.71%)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초구(1.60%)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강동구(0.65%)는 고덕·암사동 준신축 위주로, 양천구(0.61%)는 목·신정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대구(-0.34%)는 북·수성구 구축 위주로, 세종(-0.32%)은 매물적체 영향에 따라 고운·한솔동 위주로, 광주(-0.19%)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남·광산구 위주로, 부산(-0.17%)은 미분양 영향있는 강서·사상구 위주로 하락했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03%

전국은 0.03%로 전월 대비(-0.01%) 하락에서 상승 전환됐다. 수도권(0.01%→0.10%)은 상승폭 확대, 서울(0.06%→0.17%)은 상승폭 확대, 지방(-0.02%→-0.03%)은 하락폭 확대됐다.

수도권

서울(0.17%)은 역세권·신축·대단지 등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이어지고, 일부 선호단지에서 매물부족 나타나며 상승폭 확대. 경기(0.07%)는 광명·평택·안성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안양 동안·용인 수지·수원 영통구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폭 확대. 인천(-0.01%)은 미추홀·연수구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중구에서 하락하며 하락세가 지속됐다.

서울 강북14개구

성북구(-0.05%)는 성북·장위동 신축 위주로, 동대문구(-0.05%)는 전농·이문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0.24%)는 이촌·한남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동구(0.21%)는 응봉·하왕십리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노원구(0.21%)는 하계·중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다.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0.67%)는 신천·잠실동 위주로, 강동구(0.40%)는 둔촌·암사동 준신축 위주로, 동작구(0.33%)는 신대방·사당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30%)는 대림·여의도동 대단지 위주로, 양천구(0.17%)는 목·신정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울산(0.21%)은 북구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및 동구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구(-0.22%)는 남·수성·중구 구축 및 대형 규모 위주로, 제주(-0.16%)는 매물적체 영향 있는 서귀포시 위주로, 충남(-0.06%)은 서산시는 상승했으나, 홍성군·당진시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했다.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9%

전국은 0.09%로 전월 대비(0.08%)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3%→0.14%)은 상승폭 확대, 서울(0.12%→0.17%), 지방(0.04%→0.05%)은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

서울(0.17%)은 낮은 초기 비용, 신축 임차 수요 등으로 월세 선호 현상 지속되며 상승폭 확대. 경기(0.09%)는 광명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성남 수정구 위주로 상승, 인천(0.21%)은 남동·중·부평구 위주로 상승했다.

서울 강북14개구

용산구(0.32%)는 공급물량 부족한 문배동 위주로, 마포구(0.27%)는 도화·공덕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종로구(0.21%)는 숭인동 위주로, 중구(0.20%)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상승했다.

서울 강남11개구

송파구(0.39%)는 신천·문정·장지동 위주로, 영등포구(0.35%)는 신길·대림동 위주로, 서초구(0.33%)는 서초·방배동 역세권 위주로, 강동구(0.29%)는 암사·천호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

제주(-0.18%)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서귀포시 위주로 하락했으나, 울산(0.23%)은 울주군 소형 규모 위주로, 남구(0.24%)는 무거동 학군지 및 삼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중구(0.23%)는 정주여건 양호한 복산·우정동 위주로, 동구(0.18%)는 전하·서부동 위주로 상승했다.

주택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5.3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