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4.8.21일을 기준으로 온열질환자가 2023년 누적 환자 발생 수(2,818명)를 넘어서는 3,019명이 발생하였고, 폭염과 열대야는 당분간 지속된다는 기상청 날씨 전망에 따라,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고온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질병관리청은 2011년부터 매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 507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발생을 감시하고 주요 발생 특성 정보를 일별로 제공*해오고 있다.
* 질병관리청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폭염 > 감시체계 신고현황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개요
신고주체 :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중 참여 희망 기관(약 500개)
신고기간 : 5월 20일 ∼ 9월 30일
신고대상 :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등) 및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신고체계 : 참여 응급의료기관 → 관할 보건소 → 관할 시·도 → 질병관리청
결과환류 : 매일 16시 기준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발생현황 게시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5.20~8.21), 추정 사망자 28명을 포함한 총 3,019명의 온열질환자가 신고되어, 역대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2018년(4,526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현재(5.20.~8.21.)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5세 이상이 31.4%를 차지하였고, 남성(77.6%)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온열질환은 야외작업장(31.3%)과 논밭(14.6%) 등 주로 실외에서 많이 발생(78.0%)하였고, 연령대별로는 50대 558명(18.5%), 60대 557명(18.5%)로 많았고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31.4%를 차지하였으며, 질환은 열탈진(55.6%)과 열사병(20.7%)으로 나타났다.
시간별로는 12시~18시의 발생이 56.2%로 절반이 넘었으며, 6시~12시에는 26.9%, 18시~익일 6시에 16.9%가 발생한 것으로 신고되고 있어, 낮 시간대뿐만 아니라 밤 시간대에도 온열질환에 주의하여야 한다.
7월 27일 장마가 끝난 이후 주당 60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상청은 9월 첫날까지 낮 기온은 31~34도에 달하고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지속적인 폭염 대비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 11주 (7.28~8.3) 635명, 12주(8.4~8.10) 660명, 13주(8.11~8.17) 526명
폭염대비 건강수칙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는 작은 실천으로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물 자주 마시기(물), 시원하게 지내기(그늘),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휴식) 등 건강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더운 시간대 활동을 줄이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온열질환자 발생시 응급조치
먼저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거나 부채 및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폭염대비 건강수칙
①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 자주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②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 자주 하기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 모자 등)
③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작업, 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물기
*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 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④ 매일 기온 확인하기
- 기온, 폭염특보 등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기































본 저작물은 질병관리청에서 2024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온열질환자 발생 8월에 벌써 전년 규모 넘어, 9월까지 폭염대비 예방수칙 준수 당부(8.23.금)’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