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전기차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21일(현지시각) 행정명령을 통해 2030년까지 신차 판매의 50%를 전기차로 하겠다는 바이든의 목표를 취소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전기차
1월 8일 일일증시 : 韓성장률 1.3%까지 추락 경고, 삼성전자 23일 갤럭시 신제품 공개 +
계엄과 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에 무안 제주항공 참사까지 겹쳐 연말연시 내수가 얼어붙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기준금리 인하를 계기로 조금씩 살아날 기미를 보였던 민간 소비가 계엄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소비심리 악화로 내수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올해 경제 성장률이 대폭 하향될 수 있다는 대내외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2024년 가장 안전한 자동차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결과를 발표했다.
토교통부는 9개 평가차종에 대해 충돌 안전성, 외부통행자 안전성, 사고예방 안전성 등 총 3개 분야에 대한 평가 결과를 자동차안전도평가 누리집을 통해 수시 공개해 왔다.
전기차 실제 주행가능거리 시험평가 결과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에게 안전한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동·하절기 조건에서 전기차 3대 브랜드 차량 3종의 실제 주행가능거리를 시험평가했다.
2024년 10월 자동차산업 동향
산업통상자원부는 24년 10월 자동차 생산량(+7.8%)과 내수 판매량(+3.1%), 수출액(+5.5%)이 모두 전년동월 대비 플러스를 기록했으며, 생산·내수·수출이 동시에 증가한 것은 23년 6월 이후 16개월 만이라고 밝혔다.
제2차 기회발전특구 지정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8개 시·도(대구·부산·전남·경북·전북·경남·대전·제주) 기회발전특구*를 최초 지정한 이후, 울산·세종·광주·충남·충북·강원 6개 시·도 기회발전특구도 11월 6일자로 지정 고시했다. 이로써 전국 14개 모든 비수도권 시·도에 기회발전특구가 지정되어, 지방시대 新성장거점 토대가 마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