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5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하였다.

지가변동률

25년 상반기 전국 지가는 1.05% 상승하였다. 상승폭은 24년 하반기(1.15%) 대비 0.10%p 축소, 24년 상반기(0.99%) 대비 0.06%p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5년 2분기 지가변동률은 0.55%로, 동년 1분기(0.50%) 대비 0.05%p 높은 수준, 전년 동기(0.55%)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25년 상반기 지가변동률은 수도권(1.49% → 1.40%) 및 지방(0.58% → 0.44%) 모두 24년 하반기 변동률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1.77% → 1.73%), 경기(1.27% → 1.17%) 2개 시도가 전국 평균(1.05%)을 상회하였다.

시·군·구 단위로 살펴보면, 서울 강남구 2.81%, 용산구 2.61%, 용인 처인구 2.37% 등 252개 시군구 중 47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또한, 252개 시군구 중 214개 시군구가 0.00% ~ 1.20%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상위 10위권 내에 수도권 10개 시군구가 분포하고 있다.

25년 상반기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0.348%로 비대상지역 1.106% 대비 0.758%p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행정안전부 장관이 고시 한 11개 시도 89개 시군구(5년 단위 지정, 21년 10월 최초 지정)

최근 동향

전국 지가는 23년 3월(0.008%) 상승전환 이후 28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나 최근 하락 전환한 시군구가 증가하였다.

용도지역/이용상황별로 살펴보면, 주거지역 1.17%, 상업용 1.16% 등이 상승하였다.

토지 거래량

25년 상반기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90.7만 필지(592.3㎢)로 나타났다. 이는 24년 상반기 대비 2.5% 감소(△2.3만 필지) 및 24년 하반기 대비 4.2% 감소(△3.9만 필지)한 수치이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30.8만 필지(542.3㎢)로, 24년 상반기 대비해서는 10.9% 감소(△3.8만 필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24년 하반기 대비해서는 2.0% 감소(△0.6만 필지)하였다.

지역별

25년 상반기 전체토지 거래량은 24년 하반기 대비 세종 16.0%, 울산 10.5% 등 5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12개 시·도에서 감소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광주 47.6%, 부산 13.8%, 전남 8.4% 등 8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9개 시·도에서 감소하였다.

용도지역/지목/건물용도별

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은 24년 하반기 대비 농림지역 25.9%, 답 13.9% 등이 증가하였다.



본 저작물은 국토교통부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5년 상반기 전국 지가 1.05% 상승’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s://www.moli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