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4년 연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하였다.
1. 지가변동률
24년 전국 지가는 2.15% 상승하였다. 상승폭은 23년(0.82%) 대비 1.33%p 확대, 22년(2.73%) 대비 0.58%p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19∼23년) 연평균 변동률 3.06% 대비 0.91%p 상승폭 축소
24년 4분기 지가변동률은 0.56%로, 3분기(0.59%) 대비 0.03%p 낮은 수준, 23년 4분기(0.46%) 대비 0.10%p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24년 지가변동률은 수도권(1.08% → 2.77%) 및 지방권(0.40% → 1.10%) 모두 ’23년 연간 변동률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시·도
서울(3.10%), 경기(2.55%) 2개 시도가 전국 평균(2.15%)을 상회하였다.
시·군·구
용인처인구 5.87%, 서울 강남구 5.23%, 성남수정구 4.92% 등 252개 시군구 중 54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또한, 252개 시군구 중 210개 시군구가 0.00% ~ 2.40%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주로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지역 동향
24년 연간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0.92%로 비대상지역 2.26% 대비 1.34%p 낮은 수준이다.
* 행정안전부장관이 고시한 11개 시도, 89개 시군구(5년 단위 지정, 21년 10월 최초 지정)
최근 동향
전국 지가는 23년 3월(0.008%) 상승전환 이후 22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나, 최근 24년 10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되었다.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상업지역 2.46%, 공업용 2.50% 등이 상승하였다.
2. 토지 거래량
24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87.6만 필지(1,236.3㎢)로 나타났다. 23년 대비 2.7% 증가(5.0만 필지), 22년 대비 15.1% 감소(-33.3만 필지)하였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66.1만 필지(1,125.9㎢)로, 23년 대비 7.0% 감소(-5.0만 필지), 22년 대비 32.2% 감소(-31.3만 필지)하였다.
24년 전체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물량 기준, 신고일 기준)
구분 | 연도별 | 최근 5년(19∼23년) 평균 거래량 | 증감률(%) | ||||
24년 | 23년 | 22년 | 23년 대비 | 22년 대비 | 최근 5년 평균 대비 | ||
전체토지 | 1,875,749 | 1,825,728 | 2,209,175 | 2,747,890 | 2.7 | -15.1 | -31.7 |
순수토지 | 660,544 | 710,092 | 973,807 | 1,017,258 | -7.0 | -32.2 | -35.1 |
지역별
24년 전체토지 거래량은 ’23년 대비 울산 18.4%, 서울 12.3% 등 9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8개 시·도에서 감소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 22.1%, 대전 11.0% 등 4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13개 시·도에서 감소하였다.
용도지역/지목/건물용도별
24년 토지거래량은 23년 대비 공업(용도지역) 13.8%, 대(지목) 8.2%, 주거용(건물용도) 17.7% 등이 증가하였다.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 자료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은 1월 23일 14시 공표 예정) 및 ‘국토교통 통계누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바로가기
▶ 국토교통 통계누리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국토교통부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4년 연간 전국 지가 2.15% 상승’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s://www.moli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