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6~1.7%로 기존 전망보다 최대 0.3%포인트 낮췄다. 12·3 내란사태 여파로 내수 등 실물 경기와 경제 심리가 크게 위축된 영향을 반영한 결과다. 정부의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과 미국 새 정부의 경제 정책 등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한국은행
12월 26일 일일증시 : 뉴욕증시 25일 휴장, 환율 나흘째 상승 마감, 한은 ‘내년 추가 금리인하’ 시사 +
한국은행이 내년 경기 하강 위험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더 낮추겠다고 예고했다.
한은은 25일 발표한 ‘2025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 보고서에서 “물가 상승률이 안정세를 지속하고 성장의 하방 압력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 안정 리스크에도 유의하면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고 밝혔다.
11월 29일 일일증시 : 뉴욕증시 추수감사절 맞아 휴장, 한은 “내년 1.9% → 내후년 1.8%” 저성장 전망 +
한국경제가 코로나 팬데믹과 이후 고금리 터널을 통과하면서 1%대 성장률의 저성장 시대에 진입하는 경로를 보이고 있다. 기업·가계·금융 부문 등 경제 주체들이 저성장에 대비하는 방향으로 경제행동 선택을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
11월 26일 일일증시 : 버핏 美 증시 경고, 美증시 베센트 재무장관 지명에 강세, 한은 이번주 올해 마지막 금리 결정 +
‘투자의 대가’ 워런 버핏이 이끄는 미국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가 22년 만에 처음으로 채권 투자에 나섰다. 이는 미국 증시에 대한 경고라는 분석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