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은 전국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24년 4분기(12.31. 기준) 임대가격지수, 임대료, 투자수익률, 공실률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발표했다.
2024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전분기 대비 임대가격지수는 오피스에서 상승, 상가는 전체 하락세를 보였고, 투자수익률은 오피스는 전분기 대비 상승, 중대형·집합상가는 하락하였다.
임대가격지수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55% 상승, 상가(통합)는 0.14% 하락(중대형 -0.11%, 소규모 -0.18%, 집합 -0.20%)했으며, 전국 평균 임대료는 오피스(3층 이상 평균)가 18.1천원/㎡, 상가(1층 기준)는 집합 27.0천원/㎡, 중대형 26.5천원/㎡, 소규모 20.7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수익률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1.44%, 중대형 상가는 0.92%, 소규모 상가는 0.80%, 집합 상가는 1.19%로 조사되었다.
임대수익을 나타내는 소득수익률은 오피스 0.91%, 중대형 상가 0.81%, 소규모 상가 0.74%, 집합 상가 0.99%로 나타났으며,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오피스 0.52%, 중대형 상가 0.11%, 소규모 상가 0.05%, 집합 상가 0.20%로 나타났다.
공실률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는 8.9%, 중대형 상가는 13.0%, 소규모 상가는 6.7%, 집합 상가는 10.1%로 나타났다.
오피스는 서울·경기 주요 업무지구를 중심으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임대가격지수 상승세를 보이고 투자수익률도 전분기 대비 상승하는 반면, 상가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 심화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투자수익률도 하락하였다.
오피스
서울은 GBD 및 신흥 업무지구인 용산역 등에서 꾸준한 신규 임차수요로 임대인 우위시장이 이어지면서 실질 임대료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지방 시도는 경기침체에 따른 산업활동 위축으로 임차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임대가격지수 하락하였다.
투자수익률은 지방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면서 자본수익률이 전분기 보다 감소하였으나, 재산세 등의 비용 감소로 소득수익률은 소폭 상승하며 투자수익률은 전분기 대비 상승하였다.
상가
상가통합 임대가격지수는 온라인 시장 확대에 따른 오프라인 매출감소로 전국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서울은 주요상권의 유동인구와 매출 증가로 상승세 지속하나 전분기 대비 상승폭은 다소 축소되었고, 지방은 소비위축에 따른 상권 침체 심화로 임대가격지수 하락하였다.
중대형·소규모는 서울·경기로 상권 유동인구가 집중되면서 인천·강원 등 지방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집합은 신도시를 중심으로 높은 공실률에 따른 임차인 우위시장이 이어지며 임대가격지수 하락하였다.
투자수익률은 부산·대구 등 지방광역시를 중심으로 시장 침체에 따라 자산가치 하락 전환되면서 전분기 대비 자본수익률 하락하였으며, 상가 수익 악화로 인해 소득수익률은 전년동기 대비 낮은 추이를 보이며 전분기 대비 투자수익률 소폭 하락하였다.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024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