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다자녀가정 우대 혜택 신설·확대

부산시는 올해 다자녀가정을 위한 다양한 우대 혜택을 신설·확대하고, 기존 혜택 또한 편리하게 개선했다고 밝혔다.

우선, 시는 기존 3자녀 이상 가정에 대해서만 자동차 취득세를 감면하던 것을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라 2자녀 가정까지 확대했다.

만 18세 미만 자녀 2명 이상 양육을 목적으로 2027년 12월 31일까지 자동차를 취득해 등록하는 사람은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다. ▲3자녀 이상 양육자는 기존과 같이 차종에 따라 전액 면제 ▲2자녀 양육자는 최대 50퍼센트(%)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를 구매하는 다자녀가정에 대한 전기차 구매 추가지원금도 확대됐다.

시 다자녀가정이 승용 전기자동차를 구매할 때, 만 18세 이하 자녀 수에 따라 2자녀 100만 원, 3자녀 200만 원, 4자녀 이상 300만 원의 추가지원금이 지원된다.

또한, ‘아이조아 부산조아’ 사업 시행으로 지난해(2024년) 1월 이후 출산한 승용 전기자동차 구매 가정에는 첫째 출산 시 100만 원, 둘째 이상 출산 시에는 150만 원이 지급된다.

케이(K)-패스에는 다자녀가구 환급이 신설돼 2자녀 가정은 30퍼센트(%), 3자녀 이상은 50퍼센트(%)를 환급받을 수 있다.

케이(K)-패스 환급은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시내버스,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로, 부산 동백패스 이용자는 케이(K)-패스와 동백패스의 환급금액 중 더 큰 금액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아이돌봄 서비스 우선 제공 대상 기준이 12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가정으로 확대됐고,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교체)비용 지원 대상에 저소득 다자녀가구가 추가됐으며, ▲국립자연휴양림을 이용하고자 하는 다자녀가정*의 할인 및 우선예약 혜택도 추가되는 등 다자녀 혜택이 크게 강화됐다.

* 단, 2명 이상 자녀 모두 만 19세 미만인 경우에 한함

아이돌봄 서비스 우선 제공 대상 기준이 ▲기존에는 12세 이하 자녀가 3명 이상 또는 36개월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가정이었으나 ▲올해 3월 31일부터 12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가정으로 확대됐다.

아울러, 시는 기존에 제공하던 다자녀가정 우대 혜택도 개선했다.

부산시설공단과의 시스템 연계를 통해 올해 2월 1일 광안대교 스마트톨링 개통일부터 3자녀 이상 다자녀가정은 우대 차량스티커와 가족사랑카드를 제시하는 절차 없이 무정차로 광안대교를 통과하면서 통행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용자가 광안대교 누리집에서 하이패스카드와 환불계좌 등을 등록하면 된다.

광안대교 누리집 바로가기

또한, 지난해 8월 부산교통공사와의 협업을 통해 3자녀 이상 다자녀가정은 부산도시철도 모바일 앱을 통해 모바일 할인 승차권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올해 5월 시행되는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 지원사업은 지난해보다 제출 서류가 간소화됐다.

시와 정부 외에도 부산지역 민간기업과 소상공인 등 2천991곳이 자발적으로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해 다자녀가정 지원에 힘을 보태고 있다.

▲ 부산 아이파크 축구단은 올해(2025년) 홈경기를 보러오는 다자녀가정에 티켓 가격의 50퍼센트(%)를 할인(테이블석 제외)하고 있으며, ▲ 영광도서(부산진구 서면문화로 10(부전동))는 다자녀가정이 도서 구입 시, 도서가격의 10퍼센트(%)를 할인(교과서 제외)해준다.

▲ 윈덤 그랜드 호텔(서구 등대로 27(암남동))은 다자녀가정이 2개 이상의 객실을 예약하면 1개 객실요금의 50퍼센트(%)를 할인하며, ▲ 키자니아 부산에서도 다자녀가정은 반일권을 30퍼센트(%) 할인받을 수 있다.

시와 제휴를 맺은 신한카드에서는 부산가족사랑카드를 발급받으면 ▲ 지에스(GS) 칼텍스 주유 시 리터당 60~100원 할인 ▲ 씨지브이(CGV)/메가박스 온라인 영화 예매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다자녀가정 주요 우대시책

구분제공기관주요 혜택
일반부산광역시가족사랑카드 및 다자녀가정 우대 차량스티커 발급
교통부산교통공사도시철도 요금 50% 할인(3자녀 이상)
부산광역시K-패스 다자녀가구 환급 신설(2자녀 30%, 3자녀이상 50%)(’25.1. 신규)
부산광역시, 각 구군 등부산지역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50~60% 할인
부산시설공단광안대교 통행료 면제(3자녀 이상)(’25.2.스마트톨링 시행)
부산광역시자동차 취득세 감면(3자녀 이상 면제, 2자녀 50% 감면) (’25.1. 확대)
환경부, 부산광역시• 다자녀가정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추가지원- 2자녀 100만원, 3자녀 200만원, 4자녀이상 300만원 추가지원• 출산가정 전기차 구매비용 추가지원(아이조아 부산조아)(’25.2. 신규)- 첫째 출산 가정 100만원, 둘째 이상 출산 가정 150만원 지원
한국철도공사(코레일), SRTKTX 및 SRT 운임 30% 할인
한국공항공사공항 주차장 50% 할인
문화체육부산광역시 운영 체육회관 및 시설 등이용료 20~50% 할인
강서체육공원수영장 이용료 50% 할인(3자녀 이상)
요트경기장계류장 이용요금 50% 할인
부산문화회관기획공연 예매시 10% ~ 60% 할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관람료 면제
부산광역시 금련산청소년수련원이용료 면제(연1회)
구군 생활체육센터&국민체육센터이용료 10~50% 감면
낙동강 생태공원체육시설 사용료 50% 할인(3자녀 이상)
부산영화체험박물관관람료 감면(3자녀 이상 면제, 2자녀 30% 할인)(’24.8. 확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부산과학관관람료 할인
교육육아부산경제진흥원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 지원(2자녀 가정 연 30만원, 3자녀 이상 연 50만원 동백전 포인트 지급) (’24.5. 신규)
아이돌봄 서비스다자녀가정 우선 제공(12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 가정)(’25.3. 확대)
부산시 및 구군 육아종합지원센터연회비 면제 또는 할인
부산시 여성회관 및 여성문화회관교육강좌 우선접수 및 수강료 면제
부산글로벌빌리지자녀 동시 수강시 수강료 10 ~ 50% 할인
부산광역시, 부산시교육청학교우유급식 지원(3자녀이상)
한국장학재단대학교 등록금 등 지원(다자녀 국가장학금)
관내 어린이집어린이집 우선입소
생활부산광역시상·하수도요금 감면(3자녀 이상)
한국전력전기요금 30% 감면(최대 16,000원)(3자녀 이상)
부산도시가스도시가스 요금 감면(3자녀 이상)
LH, 부산도시공사주택특별공급, 주택자금 대출 등
부산광역시평생함께 청년모두가(家) 주거비 지원사업 – 출산시 공공임대주택 입주기간 중 1자녀 20년, 2자녀 평생 지원 (’25. 3. 신규)
부산광역시, 각 시행사부산아이맘플랜(공동주택 분양가 5% 할인)
국민연금관리공단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지원
부산광역시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교체)비 60만원 지원(중위소득 100% 이하 다자녀가정) (’25.1. 신규)
금융기관, 학원, 식당, 체육시설 등
다자녀가정 우대참여업체 2,990여개소
• 부산아이파크 축구단 : 홈경기 관람료 50% 할인(’25.3. 신규)• 키자니아 부산 : 반일권 30% 할인• 윈덤 그랜드 부산 : 복수 객실 예약시, 1개 객실 50% 할인(’25.2. 신규)• 영광도서 : 도서구매시 10% 할인※ 기타 참여기관별 이용요금 5~10% 할인, 서비스 제공 등 혜택 제공

시는 2006년 전국에서 가장 먼저 다자녀가정 우대제를 시작했으며, 교통, 문화·체육, 교육·육아, 생활 등 분야에서 다양한 우대시책을 시행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당신처럼 애지중지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당신처럼 애지중지 누리집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부산광역시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부산시, 다자녀가정에 힘이 되는 혜택 업(UP)!’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광역시 홈페이지(https://www.busan.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