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이 2024년 12월 5주(12월 3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3%) 하락폭 유지됐다. 수도권(-0.02%→-0.02%)은 하락폭 유지, 서울(0.01%→0.00%)은 보합 전환, 지방(-0.04%→-0.04%)은 하락폭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대전(0.00%), 울산(0.00%) 등은 보합, 대구(-0.13%), 인천(-0.09%), 전북(-0.06%), 경남(-0.05%), 전남(-0.05%), 제주(-0.04%), 광주(-0.04%), 부산(-0.04%)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02%
서울 : 0.01% → 0.00%
재건축, 신축 등 선호단지에 대한 상승세가 국지적으로 포착되나, 계절적 비수기 등에 따라 관망세가 심화되고, 부동산 매수심리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난주 대비 보합세로 전환됐다.
강북 14개구 : -0.01%
종로구(0.02%)는 명륜2가·숭인동 위주로, 용산구(0.02%)는 한강로3가·이태원동 중소형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노원구(-0.03%)는 상계동 비역세권 단지 위주로, 은평구(-0.02%)는 불광·응암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강북지역 하락 전환했다.
강남 11개구 : 0.01%
송파구(0.06%)는 신천·방이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서초구(0.03%)는 잠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서구(0.02%)는 등촌·마곡동 위주로, 강남구(0.02%)는 개포·압구정동 위주로, 양천구(0.01%)는 목·신정동 정주여건 양호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 -0.10% → -0.09%
계양구(-0.16%)는 입주예정 물량 영향으로 계산·효성동 위주로, 남동구(-0.13%)는 간석·논현동 위주로, 중구(-0.13%)는 중산·운남동 위주로, 연수구(-0.10%)는 동춘·연수동 구축 위주로, 부평구(-0.08%)는 갈산·부평동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 : -0.02% → -0.02%
안양 만안구(0.13%)는 석수·박달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10%)는 호계·관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과천시(0.08%)는 중앙·원문동 재건축 추진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평택시(-0.09%)는 비전·동삭동 위주로, 광명시(-0.09%)는 철산·하안동 구축 위주로, 이천시(-0.08)는 부발읍 및 대월면 위주로 하락했다.
지방 : -0.04%
5대광역시 : -0.05% → -0.05%
대구 : -0.11% → -0.13%
달성군(-0.21%)은 다사·화원읍 구축 위주로, 달서구(-0.16%)는 용산·이곡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중구(-0.15%)는 남산·대신동 위주로 하락했다.
광주 : -0.03% → -0.04%
서구(-0.05%)는 금호‧화정동 구축 위주로, 동구(-0.05%)는 운림·계림동 위주로, 남구(-0.04%)는 진월·봉선동 위주로, 광산구(-0.03%)는 운남·월곡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04% → -0.07%
지역별 혼조세 보이고 있으나, 새롬·고운동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8개도 : -0.04% → -0.04%
전북 : -0.08% → -0.06%
익산시(-0.22%)는 신규 공급 물량 영향으로 영등·어양동 위주로, 정읍시(-0.06%)는 수성·시기동 위주로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0%) 대비 보합 유지됐다. 수도권(-0.01%→0.00%)은 보합 전환, 서울(0.00%→0.00%)은 보합 유지, 지방(0.00%→-0.01%)은 하락 전환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4%), 부산(0.03%), 충북(0.03%), 광주(0.02%) 등은 상승, 경기(0.00%) 등은 보합, 대구(-0.10%), 경북(-0.05%), 전북(-0.04%), 인천(-0.04%)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 0.00%
서울 : 0.00% → 0.00%
국지적으로 대단지 및 선호단지 위주로 매물부족에 따른 상승거래 체결되나, 입주영향 있는 지역 및 저가매물 위주의 거래 등 혼조세가 지속되며 서울 전체 보합세를 유지했다.
강북 14개구 : 0.00%
종로구(0.03%)는 무악동 선호단지 위주로, 중구(0.03%)는 신당동·충무로4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성동구(-0.05%)는 옥수·하왕십리동 위주로, 동대문구(-0.04%)는 입주영향 있는 답십리·휘경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강북지역 보합세를 보였다.
강남 11개구 : 0.00%
강서구(0.03%)는 화곡·방화동 대단지 위주로, 서초구(0.03%)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강동구(-0.06%)는 암사·명일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금천구(-0.04%)는 독산·시흥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강남지역 보합세를 보였다.
인천 : -0.06% → -0.04%
연수구(0.07%)는 동춘‧송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중구(-0.20%)는 입주물량 영향으로 중산·운남동 위주로, 남동구(-0.08%)는 논현·만수동 구축 위주로, 계양구(-0.07%)는 병방·작전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하락세가 지속됐다.
경기 : 0.00% → 0.00%
고양 일산서구(0.16%)는 일산·주엽동 학군지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11%)는 마두·중산동 위주로, 과천시(0.07%)는 중앙·원문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이천시(-0.13%)는 안흥·증포동 위주로, 평택시(-0.12%)는 비전‧동삭동 위주로, 광명시(-0.12%)는 광명·하안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경기 전체 보합세가 지속됐다.
지방 : -0.01%
5대광역시 : 0.00% → -0.01%
대구 : -0.07% → -0.10%
달서구(-0.16%)는 상인·본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남구(-0.16%)는 봉덕·이천동 구축 위주로, 수성구(-0.11%)는 범어·수성동 위주로 하락했다.
대전 : -0.02% → -0.01%
서구(0.02%)는 둔산‧월평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동구(-0.10%)는 판암‧홍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대덕구(-0.06%)는 비래‧송촌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세종 : 0.04% → 0.00%
고운동 및 조치원읍 구축 위주로 하락세 보이며 상승에서 보합세로 전환됐다.
8개도 : 0.00% → -0.01%
경북 : -0.02% → -0.05%
김천시(0.12%)는 율곡‧신음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포항 북구(-0.18%)는 장성‧용흥동 위주로 하락했다.
※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41230기준)’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