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과천과학관은 카오스재단,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시민과학센터와 함께 ‘2025 카오스강연 시즌2’를 공동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연은 ‘우주’를 주제로, 국내 천문학계의 대표 석학 8인이 참여해 대중과 우주의 신비를 함께 탐구하는 특별한 지식 나눔의 장으로 마련된다.
강연은 11월 12일부터 12월 3일까지‘먼 우주’세션, 2026년 1월 7일부터 28일까지‘가까운 우주’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먼 우주’에서는 우주의 기원과 구조를,‘가까운 우주’에서는 태양계 내 천체를 다룬다. 모든 강연은 매주 수요일 저녁,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에서 열리며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현장 참석자는 서울대학교 시민과학센터에서 발급하는 수료증을 받을 수 있다.
‘먼 우주’ 세션은 이명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허블 우주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를 비교·분석하는 강연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전명원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가 제임스 웹 망원경이 포착한 초기 우주의 별들을 소개하고, 이정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적외선 망원경을 통해 밝힌 별의 탄생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의 이보미 박사가 네 번째 강연을 맡아, NASA와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 프로젝트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한다.
‘가까운 우주’세션에서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천체들을 중심으로 한 강연들이 이어진다. 채종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태양계의 유일한 항성 ‘태양’, 김성수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가 지구의 동반자 ‘달’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과 최신 탐사 성과를 소개한다. 이어서 이연주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 및 지구과학 연구단장, 심민섭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주영지 부경대 환경해양대학 교수가 금성과 화성의 특성과 탐사 현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특히 첫 번째 강연에서는 과학연극 ‘우주에서 나를 보다’를 사전 공연으로 만나볼 수 있다.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통해 우주를 감성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공동 개최는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공공기관과 민간재단의 협력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국립과천과학관은 과학 대중화와 교육을 위한 국가대표 과학관으로서, 카오스재단의 전문성과 콘텐츠 기획력을 접목해 보다 깊이 있는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시민과학센터의 참여 또한 학문적 신뢰성과 교육적 가치를 더한다.
강연 참여 안내문은 카오스재단과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안내문에 있는 QR코드를 통해 10월 24일부터 사전 예매를 할 수 있다.

본 저작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과학 콘서트의 귀환: 2025 카오스강연 시즌2 과천과학관에서 개막’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누리집(https://www.msi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