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수칙

한국소비자원이 202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위해정보를 분석해 일상 속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전 연령대에서 안전사고 다발장소가 가정으로 나와

2024년 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85,639건으로, 전년(79,264건) 대비 8% 증가해 최근 5년 중(2020~2024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생애주기별 위해 발생 장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가정(주택) 내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다. 특히 신체적 제약으로 부상의 위험이 큰 ‘영유아’(75.0%)와 ‘고령자’(68.4%)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가정 내 ‘영유아’ 추락사고, 2명 중 1명은 침대에서 발생

세부적으로 ‘영유아’의 가정 내 안전사고(7,830건)의 주요 원인은 추락(3,252건, 41.5%)으로, 특히 침대(1,550건, 47.7%)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전체 추락 사고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최근 주목할 점은 ‘옷 갈아입히는 테이블(기저귀 교환대)’(144건, 4.4%)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2021년(51건) 대비 182.4% 증가한 것인데, 주로 기저귀를 갈아입히는 동안 영유아가 낙상하는 사례가 많아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령자’ 미끄러짐 사고에 주의, 특히 욕실에서 전년 대비 116.5% 증가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10,751건) 원인으로는 ‘미끄러짐·넘어짐’ (7,423건, 69.0%)이 가장 많았다.

특히 ‘욕실’(3,338건, 45.0%)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전년(1,542건) 대비 116.5% 증가했는데, 주로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3,174건) 문틀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86건)였다.

가정 내 추락·미끄러짐 안전사고, 무엇보다 ‘사전 예방’이 최우선

실내 생활이 비교적 많은 영유아와 고령자는 가정 내 안전사고에 특히 취약하므로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정 내 설치된 가구 등의 위해요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침대에는 낙상 방지를 위한 안전 난간과 충격 흡수용 바닥 매트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욕실에는 미끄럼 방지 타일(스티커)을 부착하고, 밝은 조명을 설치하며, 사용 후 물기를 즉시 제거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저작물은 한국소비자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수칙’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https://www.kca.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