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2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

한국부동산원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분기 대비(25년 4월 1일 대비) 2025년 2분기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9% 하락, 전세가격은 0.25% 하락, 월세가격은 0.20% 상승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부동산원은 1∼2인 가구 증가, 주택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18년 1월부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방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및 세종시, 총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39%로 하락폭이 유지(-0.39%→-0.39%)됐다. 수도권은 하락폭이 확대(-0.31%→-0.34%), 서울은 상승에서 보합 전환(0.03%→0.00%),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0.72%→-0.56%)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5%로 하락폭이 확대(-0.22%→-0.25%)됐다. 수도권은 하락폭이 확대(-0.16%→-0.23%), 서울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0.01%→-0.02%),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0.44%→-0.30%)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0%로 상승폭이 축소(0.49%→0.20%)됐다. 수도권(0.56%→0.25%), 서울(0.44%→0.28%) 및 지방(0.20%→0.04%) 모두에서 상승폭이 축소 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9% 하락, 수도권 0.34% 하락, 지방 0.56%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광주(-0.99%), 인천(-0.91%), 대구(-0.77%), 대전(-0.67%) 순으로 하락

    서울 : 0.00%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영향으로 아파트를 대체하는 중대형 오피스텔은 상승한 반면, 전체 재고량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초소형 오피스텔은 하락하며 전 분기 대비 상승에서 보합으로 전환(0.03%→0.00%)됐다.

    인천 : -0.91%

    입주예정 오피스텔 매물 누적으로 하락세 지속된 반면, 신축 역세권 오피스텔에 대한 매수 문의 증가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96%→-0.91%)됐다.

    경기 : -0.47%

    신축 오피스텔 공급이 많은 신도시 지역이 하락세를 주도한 가운데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수요 감소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40%→-0.47%)됐다.

    지방 : -0.56%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일부 입지가 우수한 오피스텔에 대한 실수요 영향으로 지방 전체 기준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72%→-0.56%)됐다.

    전세가격동향

      전세가격은 전국 0.25% 하락, 수도권 0.23% 하락, 지방 0.30%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대전(-0.74%), 인천(-0.64%), 대구(-0.59%), 세종(-0.35%) 순으로 하락

      서울 : -0.02%

      이사철이 마무리되며 이주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전세기피 현상 확산에 따른 월세전환 증가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상승에서 하락 전환(0.01%→-0.02%)됐다.

      인천 : -0.64%

      전세사기, 역전세 우려로 인한 전세기피 현상 지속되며 수요 위축된 가운데 노후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하락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47%→-0.64%)됐다.

      경기 : -0.31%

      매매가격 하락에 따른 보증금 미반환 불안감 확산으로 전세수요 위축된 가운데 오피스텔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22%→-0.31%)됐다.

      지방 : -0.30%

      이사철 마무리 영향으로 하락세 나타난 가운데 근로자 유입으로 임대차 수요 증가한 울산이 상승을 나타내며 지방 전체 기준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44%→-0.30%)됐다.

      월세가격동향

      월세가격은 전국 0.20% 상승, 수도권 0.25% 상승, 지방 0.04% 상승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광주(0.47%), 울산(0.35%), 경기·서울(0.28%), 부산(0.11%) 순으로 상승

      서울 : 0.28%

      역세권 등 입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사철 마무리로 이주수요 감소 추세를 보이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0.44%→0.28%)됐다.

      인천 : 0.08%

      오피스텔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 감소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은 노후 오피스텔의 가격이 하락을 나타내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1.30%→0.08%)됐다.

      경기 : 0.28%

      월세선호 증가로 교통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된 반면, 공급이 많은 신도시 지역은 하락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0.43%→0.28%)됐다.

      지방 : 0.04%

      오피스텔의 노후도가 높은 대전과 공급이 많은 대구를 중심으로 하락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0.20%→0.04%)됐다.

      평균가격(25년 6월 기준)

      * 평균가격은 표본을 기준으로 한 가격이며, 24년 1월 전면 표본재설계를 통해 표본 및 공표구간 확대 등으로 표본 구성과 가격 수준이 기존 대비 변동이 발생하여 통계의 시계열적 해석시 유의가 필요하므로 표본 개편 이전과 대비 등 시계열적 통계는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을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매매평균가격은 전국 221,662천원, 수도권 238,705천원, 지방 154,983천원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서울(276,909천원), 경기(226,999천원), 부산(168,393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평균가격은 전국 176,710천원, 수도권 191,741천원, 지방 117,899천원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서울(220,734천원), 경기(182,101천원), 인천(138,015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보증금평균가격은 전국 16,546천원, 수도권 18,041천원, 지방 10,696천원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서울(22,909천원), 경기(15,048천원), 인천(12,827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평균가격은 전국 788천원, 수도권 843천원, 지방 574천원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서울(914천원), 경기(828천원), 인천(685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 월세보증금과 월세 조합이 다양하여 지역 유형별 보증금과 월세의 개별비교는 부적절하며 전월세전환율의 고려 필요

      전월세전환율 & 수익률(25년 6월 기준)

      ※ 해당 조사는 24년 1월에 표본 확대 및 전면 재설계하였으므로 해석시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6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하여 산정한 결과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전환율은 6.35%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6.30%, 지방 7.01%, 서울 5.87% 였다. 지역별로는 세종 8.55%, 울산 7.20%, 대구 6.93%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5.87%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5.55%를 보였으며, 수도권 5.45%, 지방 5.97%, 서울 4.94% 였다. 지역별로는 대전 7.85%, 광주 6.57%, 세종 6.42%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4.94%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 비율(25년 6월 기준)

      ※ 해당 조사는 24년 1월에 표본 확대 및 전면 재설계하였으므로 해석시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전국 오피스텔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85.18%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5.51%, 지방 83.87%, 서울 84.48% 였다. 지역별로는 대구 86.98%, 경기 86.41%, 세종 86.35% 순으로 높았으며, 부산이 82.79%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오피스텔의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의 비율은 8.62%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41%, 지방 9.46%, 서울 9.37% 였다. 지역별로는 대전 11.00%, 부산 10.13%, 서울 9.37%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이 6.19%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규모별 가격 동향

      매매가격

      전국 40㎡이하는 0.42%하락, 40㎡초과 60㎡이하는 0.28%하락, 60㎡초과 85㎡이하는 0.39%하락, 85㎡초과는 0.12%하락했다.

      전세가격

      전국 40㎡이하는 0.30%하락, 40㎡초과 60㎡이하는 0.14%하락, 60㎡초과 85㎡이하는 0.16%하락, 85㎡초과는 0.08%하락했다.

      월세가격

      전국 40㎡이하는 0.23%상승, 40㎡초과 60㎡이하는 0.21%상승, 60㎡초과 85㎡이하는 0.10%상승, 85㎡초과는 0.10%상승했다.

      오피스텔 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025년 2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발표’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