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분기 대비(25년 7월 1일 대비) 2025년 3분기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9% 하락, 전세가격은 0.20% 하락, 월세가격은 0.3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부동산원은 1∼2인 가구 증가, 주택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18년 1월부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방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및 세종시, 총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전국 매매가격은 전분기 대비 –0.39%로 하락폭이 유지(-0.39%→-0.39%)됐다. 수도권은 하락폭이 축소(-0.34%→-0.32%), 서울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0.00%→0.11%), 지방은 하락폭이 확대(–0.56%→-0.65%)됐다.
전국 전세가격은 전분기 대비 –0.20%로 하락폭이 축소(-0.25%→-0.20%)됐다. 수도권은 하락폭이 축소(-0.23%→-0.17%), 서울은 하락에서 상승 전환(-0.02%→0.07%), 지방은 하락폭이 확대(-0.30%→-0.32%)됐다.
전국 월세가격은 전분기 대비 0.30%로 상승폭이 확대(0.20%→0.30%)됐다. 수도권(0.25%→0.32%), 서울(0.28%→0.53%) 및 지방(0.04%→0.22%) 모두에서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9% 하락, 수도권 0.32% 하락, 지방 0.65%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광주(-0.97%), 대구(-0.81%), 경기(-0.64%), 인천·부산(-0.61%) 순으로 하락했다.
서울(0.11%)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에 따라 아파트를 대체하는 중대형 규모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전 분기 대비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0.00%→0.11%)됐다.
인천(-0.61%)은 신규 오피스텔 공급이 많은 신도시 지역의 매수심리 위축된 가운데 일부 선호단지를 중심으로 수요 회복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91%→-0.61%)됐다.
경기(-0.64%)는 선호도가 낮은 노후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공급이 많은 지역은 매수심리 위축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47%→-0.64%)됐다.
지방(-0.65%)은 신축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물 적체되는 모습을 보이며 지방 전체 기준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56%→-0.65%)됐다.
2. 전세가격동향
전세가격은 전국 0.20% 하락, 수도권 0.17% 하락, 지방 0.32%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대구(-0.71%), 인천(-0.57%), 대전(-0.44%), 광주(-0.37%) 순으로 하락했다.
서울(0.07%)은 교통여건이 양호한 역세권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요를 보인 가운데 새학기 개강에 따라 대학가를 중심으로 상승하며 전 분기 대비 하락에서 상승 전환(-0.02%→0.07%)됐다.
인천(-0.57%)은 신축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 지속된 가운데 교통여건이 양호한 지역에 대한 전세수요 증가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64%→-0.57%)됐다.
경기(-0.26%)는 노후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하락세 지속된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으로 인한 대체 수요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31%→-0.26%)됐다.
지방(-0.32%)은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급이 지속된 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 적체 및 매물 누적 현상 나타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30%→-0.32%)됐다.
3. 월세가격동향
월세가격은 전국 0.30% 상승, 수도권 0.32% 상승, 지방 0.22% 상승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울산(0.72%), 서울(0.53%), 광주(0.42%), 부산(0.25%) 순으로 상승
서울(0.53%)은 교통 편의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한 가운데 전세사기 우려 등에 따라 월세 선호현상 심화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확대(0.28%→0.53%)됐다.
인천(0.17%)은 매매가격 하락으로 인하여 역전세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학군지 및 역세권 등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수요 증가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확대(0.08%→0.17%)됐다.
경기(0.16%)는 전세에서 월세로의 임대차 시장 전환 영향으로 상승세 지속된 반면, 임차수요가 적은 노후 오피스텔은 하락을 나타내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0.28%→0.16%)됐다.
지방(0.22%)은 지역 주력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임차 수요 증가 영향으로 울산이 가장 높은 상승을 나타내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확대(0.04%→0.22%)됐다.
4. 평균가격 (25년 9월 기준)
매매평균가격은 전국 221,315천원, 수도권 238,500천원, 지방 154,082천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277,597천원), 경기(226,165천원), 부산(167,434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평균가격은 전국 176,572천원, 수도권 191,623천원, 지방 117,687천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220,967천원), 경기(181,831천원), 인천(137,338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보증금평균가격은 전국 16,526천원, 수도권 18,015천원, 지방 10,701천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22,842천원), 경기(15,063천원), 인천(12,799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평균가격은 전국 791천원, 수도권 847천원, 지방 575천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921천원), 경기(830천원), 인천(687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5. 전월세전환율 & 수익률 (25년 9월 기준)
2025년 9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하여 산정한 결과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전환율은 6.31%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6.25%, 지방 7.03%, 서울 5.86%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세종 8.64%, 울산 7.37%, 부산 6.82%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5.86%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5.60%를 보였으며, 수도권 5.49%, 지방 6.04%, 서울 4.97%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대전 7.85%, 광주 6.67%, 세종 6.44%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4.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6.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 비율 (25년 9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85.34%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5.64%, 지방 84.14%, 서울 84.45%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대구 87.05%, 경기 86.77%, 세종 86.51% 순으로 높았으며, 부산이 83.03%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오피스텔의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의 비율은 8.61%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38%, 지방 9.53%, 서울 9.29%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대전 10.94%, 부산 10.21%, 인천 9.31%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이 6.21%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7. 규모별 가격 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40㎡이하는 0.47%하락, 40㎡초과 60㎡이하는 0.19%하락, 60㎡초과 85㎡이하는 0.26%하락, 85㎡초과는 0.01%상승했다.
전세가격은 전국 40㎡이하는 0.23%하락, 40㎡초과 60㎡이하는 0.16%하락, 60㎡초과 85㎡이하는 0.09%하락, 85㎡초과는 0.04%하락했다.
월세가격은 전국 40㎡이하는 0.33%상승, 40㎡초과 60㎡이하는 0.31%상승, 60㎡초과 85㎡이하는 0.11%상승, 85㎡초과는 0.24%상승했다.
오피스텔 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025년 3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발표’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