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한국부동산원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분기 대비(25년 1월 1일 대비) 2025년 1분기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9% 하락, 전세가격은 0.22% 하락, 월세가격은 0.49% 상승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9% 하락, 수도권 0.31% 하락, 지방 0.72%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대구(-1.28%), 광주(-1.05%), 인천(-0.96%), 부산(-0.69%) 순으로 하락했다.

서울 : 0.03%

아파트 가격상승에 따른 대체 수요 증가 영향으로 주거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확대(0.02%→0.03%)됐다.

인천 : -0.96%

미분양 해소 지연 및 분양권 방매가격 하락에 따른 오피스텔 투자수요 둔화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 지속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81%→-0.96%)됐다.

경기 : -0.40%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장기간 거래 부진 및 매물적체 심화된 가운데 선호도가 낮은 노후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하락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38%→-0.40%)됐다.

지방 : -0.72%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 감소한 가운데 가격 하락세의 장기 지속에 따라 낙폭은 다소 둔화되며 지방 전체 기준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86%→-0.72%)됐다.

2. 전세가격동향

전세가격은 전국 0.22% 하락, 수도권 0.16% 하락, 지방 0.44%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대전(-0.76%), 대구(-0.69%), 인천(-0.47%), 부산·세종(-0.43%) 순으로 하락했다.

서울 : 0.01%

교통여건이 양호한 역세권을 중심으로 직장인 수요 지속되었으나 전세기피 현상 영향으로 방매가격 하향 조정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0.02%→0.01%)됐다.

인천 : -0.47%

공급이 많은 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역전세 우려로 전세기피 현상 지속되며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확대(-0.14%→-0.47%)됐다.

경기 : -0.22%

매매가격 하락에 따라 역전세 우려 높아지며 하락세 지속된 가운데 역세권 및 산업단지 인근으로의 직장인 수요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하락폭이 축소(-0.28%→-0.22%)됐다.

지방 : -0.44%

전세사기 등 보증금 미반환 우려로 전세기피 현상 지속된 가운데 대학교 인근 지역 및 학군지에 대한 새학기 수요 영향으로 하락폭이 축소(-0.68%→-0.44%)됐다.

3. 월세가격동향

월세가격은 전국 0.49% 상승, 수도권 0.56% 상승, 지방 0.20% 상승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인천(1.30%), 울산(0.97%), 서울(0.44%), 경기(0.43%) 순으로 상승했다.

서울 : 0.44%

신학기 개강에 따라 대학가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소형 오피스텔에 대한 1인가구 임차 수요 증가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확대(0.35%→0.44%)됐다.

인천 : 1.30%

신혼부부 및 청년층을 중심으로 교통여건이 양호한 지역의 소형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확대(0.98%→1.30%)됐다.

경기 : 0.43%

직장인 수요가 높은 역세권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된 지속된 가운데 신축과 노후 단지간 월세가격 격차 확대되며 전 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0.49%→0.43%)됐다.

지방 : 0.20%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 격차 축소에 따라 월세선호 현상 심화된 가운데 이사철 이주수요 영향으로 월세 문의 늘어나며 전 분기 대비 상승 전환(-0.02%→0.20%)됐다.

4. 평균가격(25년 3월 기준)

매매평균가격은 전국 222,171천원, 수도권 239,116천원, 지방 155,875천원으로 지역별로는 서울(276,727천원), 경기(227,697천원), 부산(169,301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평균가격은 전국 176,941천원, 수도권 191,958천원, 지방 118,188천원으로 ,지역별로는 서울(220,732천원), 경기(182,311천원), 인천(138,860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보증금평균가격은 전국 16,523천원, 수도권 18,020천원, 지방 10,666천원으로, 지역별로는 서울(22,897천원), 경기(15,029천원), 인천(12,773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월세평균가격은 전국 786천원, 수도권 840천원, 지방 574천원으로, 지역별로는 서울(911천원), 경기(825천원), 인천(685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5. 전월세전환율 & 수익률(25년 3월 기준)

2025년 3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하여 산정한 결과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전환율은 6.32%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6.26%, 지방 6.99%, 서울 5.83%였다. 지역별로는 세종 8.46%, 대구 7.08%, 울산 7.00%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5.83%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5.51%를 보였으며, 수도권 5.40%, 지방 5.93%, 서울 4.92%였다. 지역별로는 대전 7.83%, 광주 6.46%, 세종 6.40%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이 4.92%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6.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 비율(25년 3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85.06%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5.41%, 지방 83.67%, 서울 84.49%였다. 지역별로는 대구 86.84%, 세종 86.34%, 경기 86.27% 순으로 높았으며, 부산이 82.58%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오피스텔의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의 비율은 8.59%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38%, 지방 9.40%, 서울 9.36%였다. 지역별로는 대전 11.10%, 부산 10.05%, 서울 9.36%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이 6.16%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7. 규모별 가격 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40㎡이하는 0.43%하락, 40㎡초과 60㎡이하는 0.20%하락, 60㎡초과 85㎡이하는 0.41%하락, 85㎡초과는 0.31%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전국 40㎡이하는 0.25%하락, 40㎡초과 60㎡이하는 0.12%하락, 60㎡초과 85㎡이하는 0.15%하락, 85㎡초과는 0.14%하락했다.

월세가격은 전국 40㎡이하는 0.52%상승, 40㎡초과 60㎡이하는 0.50%상승, 60㎡초과 85㎡이하는 0.38%상승, 85㎡초과는 0.28%상승했다.

오피스텔 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바로가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에서 2025년 작성하여 개방한 ‘2025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발표’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https://www.reb.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한국부동산원이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법 제1조, 제3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