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ICOM KOREA), (사)한국박물관협회와 함께 5월 2일(금)부터 31일(토)까지 전국 260여 개 박물관·미술관이 참여하는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을 개최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ICOM KOREA), (사)한국박물관협회와 함께 5월 2일(금)부터 31일(토)까지 전국 260여 개 박물관·미술관이 참여하는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을 개최한다.
* 세계 박물관의 날(매년 5월 18일)을 계기로 박물관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대한 대중 인식을 확산하고 국민의 문화 향유권을 확대하기 위해 2012년부터 운영함.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 지역 박물관 참여 확대, 홍보대사로 박시은·진태현 부부 위촉
올해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가 선정한 ‘급변하는 공동체와 박물관의 미래(The Future of Museums in Rapidly Changing)’를 주제로 진행한다. 지역문화의 균형 발전을 위해 지역 박물관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역의 주요 문화공간과 지역 박물관·미술관을 연계한 여행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전국 곳곳의 우수한 문화유산을 발굴해 적극 알린다.
이번 개막식에서는 최근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배우 박시은·진태현 부부를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의 홍보대사로 위촉한다. 이어 참가자들은 사비나미술관의 기획전시 <생태의 집-한옥>을 해설과 함께 관람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한옥의 생태적 가치를 탐구해 건축과 예술의 융합적 미래를 제시한다.
대표 소장품 홍보 ‘뮤지엄×만나다’, 전시·체험 ‘뮤지엄×즐기다’, 여행 ‘뮤지엄×거닐다’, 국제학술대회 등 진행
올해 박물관·미술관 주간에는 ▴전국 박물관·미술관 중 50개관의 소장품을 선정해 홍보하고 연계, 전시하는 ‘뮤지엄×만나다’, ▴급변하는 공동체와 박물관의 미래를 주제로 전시하고 체험하는 ‘뮤지엄×즐기다’(공모 선정 31개관, 26개 프로그램), ▴전국 박물관·미술관과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명소를 전문 해설사와 함께 여행하는 ‘뮤지엄×거닐다’(6개 권역, 25회 차), ▴‘급변하는 공동체와 박물관의 미래’를 주제로 17개의 학회가 참여하는 ‘제19회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를 진행한다.
‘뮤지엄×만나다’는 ‘최초, 그리고 시작’을 주제로 전국 50개 박물관·미술관의 대표 소장품과 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발굴해 알리고자 새롭게 마련했다. 올해는 소장품의 역사적 배경, 수집 과정 등을 홍보하고 내년에는 해당 소장품을 활용한 특별 전시, 작가와의 대화 시간 등을 지원해 소장품이 담고 있는 이야기를 전할 계획이다.
‘뮤지엄×즐기다’는 ‘박물관·미술관 주간’의 참여 주체와 콘텐츠를 다양화하기 위해 박물관·미술관은 물론 지역 문화예술기관과 협업해 진행한다. 박물관·미술관별 특화된 소재 또는 지역 고유의 콘텐츠를 활용해 9개의 창의적인 전시와 17개의 다채로운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대표적으로 ▴교동미술관(전북 전주)은 전주문화재단, 팔복예술공장과 함께 특별 전시 <유연한 공간: 동시대화>를 개최한다. ▴범어사 성보박물관(부산 금정)은 특별 전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자대비(大慈大悲)>를 통해 갈등과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온양민속박물관(충남 아산)은 <박물관 안 수선집 Ⅲ: ‘호위무사’> 전시에서 고유의 생활문화 속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와 미감을 통해 ‘수선(修善: 선한 영향력)’의 의미를 살펴본다. ▴사비나미술관(서울 은평구)은 기획전시 <생태의 집–한옥>와 함께 인근 은평 한옥마을 등 북한산 한문화체험특구와 연계한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뮤지엄×거닐다’는 지역의 특색 있는 박물관·미술관을 발굴·소개하고 수도권 중심의 문화 향유 기회를 지방으로 확대하고자 기획한 행사다. 경기 양평, 파주, 경북 경주, 대전, 전북 전주, 제주 등 6개 지역에서 총 25회 차, 회차당 30명 내외의 참여자를 모집해 박물관·미술관 여행을 떠난다. ‘뮤지엄×즐기다’ 선정관인 교동미술관(전북 전주), 유동룡미술관(제주) 등과 인근 문화명소를 전문 해설사와 함께 거닐 수 있고, 경주에서는 최선주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이 전문 해설사로 동행한다.
이 밖에 국립중앙박물관은 5월 5일, 어린이날 기념행사 ‘상상의 박물관’을 열어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과 연계한 체험·홍보관을 운영한다. ▴나만의 뮤지엄 엠비티아이(MBTI)를 통한 배지 만들기, ▴기념사진 촬영 및 누리소통망 인증, ▴‘뮤지엄×만나다’ 소장품 열쇠고리(키링)를 땅에 묻어 문화유산처럼 발굴하는 체험행사 등을 진행한다.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뮤지엄×만나다
뮤지엄×만나다 선정관
경기도박물관
조영복 초상
경기도자미술관
108번뇌
경산시립박물관
얼굴모양토기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포니1
고려청자박물관
청자자‘大平’명 양각해석류화문와
구하우스 미술관
전람회의 그림들
국립산악박물관
77한국에베레스트 자료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청진기
국립해양박물관
바다의 신비
김만덕기념관
은광연세 편액(恩光衍世扁額)
김포다도박물관
휴대용 다기함
농협 농업박물관
강진 용소농기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열하일기 친필초고본
담양우표박물관
우리나라 최초우표 (문위우표)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
대구섬유박물관
낙하산지 블라우스
대전시립박물관
나신걸 한글편지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金允謙 筆嶺南紀行畵帖)
디자인코리아뮤지엄
박가분(朴家粉)
모란미술관
발자크상
목인박물관 목석원
남사당패
박을복자수박물관
국화와 원앙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큰이빨부리고래 골격 표본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박물관
꽃무늬 풋엔진
성북구립미술관
이브 58-1
세계민속악기박물관
루밥
안산어촌민속박물관
목어 가족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동물가족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영락장식
영은미술관
하늘과 땅
영천역사박물관
세계최초일간신문 민간인쇄조보
영훈뮤지엄
해주백자청화추상문단지
이천시립박물관
청자양각연판문접시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수고무강첩壽考無疆帖
이함미술관
뷔페, 노바디즈 퍼펙트
전주전통술박물관
양주○법(釀酒○法)
철박물관
전기로 : 556
청주시 한국공예관
안계(眼界)
춘원당한의약박물관
제1회 한의사국가시험 합격증 및 면허증 사진
충현박물관
한글 징비록
프라움악기박물관
브로드우드 그랜드 포르테 피아노
한국등잔박물관
조족등
한국민화뮤지엄
삼국지연의도
한국자연사박물관
학봉장군미라
한길책박물관
제프리초서 작품집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평양성탈환도(平壤城奪還圖)
한독의약박물관
대한약전 초판본
한양대학교박물관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
함안박물관
별자리 덮개돌(천문개석)
혜곡최순우기념관
최순우 옛집

뮤지엄×즐기다
전시
강원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산림박물관
동물이 잇다, 사람이 잇다
05.03.~08.31.
전북 전주시
교동미술관
유연한 공간: 동시대화
Flexible Space : ContemporalDialogue
05.06.~06.01.
전북 전주시
(재)전주문화재단 + 팔복예술공장
전통+현대:숨바꼭질
05.13.~08.31.
경북 김천시
김천시립박물관 + 지역문화진흥공동체 도시락
역驛, 문명의 플랫폼.
05.01.~08.03.
부산 금정구
범어사 성보박물관
大慈大悲
05.02.~08.31.
서울 은평구
사비나미술관
생태의 집 - 한옥
05.03.~08.03.
경기 화성시
소다미술관
Question & Art: 걷는 인간, 질문하는 예술
05.15.~07.20.
경기 파주시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섬 연결 프로젝트: Linking Island
05.01.~07.13.
충남 아산시
온양민속박물관
박물관 안 수선집 Ⅲ '호위무사'
04.25.~06.08.
제주 제주시
유동룡미술관
제주 파빌리온 프로젝트
05.02.~08.31.
교육
경남 거제시
거제어촌민속전시관 + 포로수용소유적박물관
다름을 품은 동네, 렛츠고 거제! 시간탐험대
05.02.~05.31.
경기 광주시
경기도자박물관
탐정수첩사옹원 분원비밀을 찾아라
05.01.~05.31.
전남 고흥군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분청사기 크리에이터; 빚고 꾸미는 미래
05.03.~05.31.
서울 종로구
뮤지엄한미 삼청
인터랙티브 종로
05.09.~05.31.
전북 익산시
백제왕궁박물관 + 마수리늘배움협회
백제왕궁 공동체의 연결, 미래를 비추는 유산
05.03.~05.24.
충북 청주시
쉐마미술관 + 충북대학교박물관
두루봉에서 툭툭, 톡톡 : 미래를 그리다
05.02.~05.31.
서울 성북구
우리옛돌박물관
기묘한 박물관
05.09.~05.24.
전남 신안군
저녁노을미술관
<보타니, 섬의 정원>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
05.03.~05.31.
경기 양주시
조명박물관
임수빈 전시 <대칭적 네트워크> 전시 연계 프로그램
05.03.~05.31.
경남 진주시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박물관을 뛰쳐나간 공룡들
05.01.~05.31.
경남 진주시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가장 사적이며 보편적인 모두의 박물관
05.03.~06.01.
서울 종로구
짚풀생활사박물관
맛있다. 짚풀 덕분에
05.01.~05.31.
서울 강남구
코리아나미술관
게더링 AI – 모두를 위한 기술 접근성
05.02.~05.31.
경기 파주시
파주나비나라박물관
손끝에서 피어난 나비
05.01.~05.31.
경북 경주시
한국대중음악박물관
나덕! 너덕? : 덕후의 힘
05.04.~05.31.
충남 공주시
한국자연사박물관
사라져가는 토종이를 구해라!
05.01.~05.31.
충남 예산군
한국토종씨앗박물관
토종씨앗, 미래를 심다
04.27.~05.31.

뮤지엄×거닐다
프로그램과 주요 코스
경기 (파주)
문화따라 뮤지엄따라 (5.15., 5.16., 5.30.)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김창호 학예연구관)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원채윤 학예팀장, 장민현 학예연구사) → 세계민속악기박물관(이영진 관장, 한연선 학예실장)
경기 (양평)
자연따라 뮤지엄따라 (5.3., 5.17., 5.24.)
이함미술관(박은지 학예사) → 구하우스미술관(류소영 학예실장) → 두물머리(자유 관람)
경북 (경주)
역사따라 뮤지엄따라 (5.11., 5.12., 5.29., 5.30.)
국립경주박물관 → 경주월성 → 경주계림 → 경주향교 → 월정교(최선주 (전)국립경주박물관장)
대전
지역따라 뮤지엄따라 (5.3., 5.8., 5.25., 5.31.)
대전시립박물관(김기범 학예연구사) → 대전시립미술관(김민기 학예연구과장) → 대전근현대사전시관(송연은 학예연구사)
전북 (전주)
역사따라 뮤지엄따라 (5.9., 5.15., 5.16., 5.23., 5.24.)
교동미술관(정하나 부관장) → 경기전(한옥마을 해설사) → 오목대(자유 관람) → 전주전통술박물관(노수영 학예연구사)
제주
건축따라 뮤지엄따라 (5.16., 5.17., 5.22., 5.23.)
방주교회(박재연 학예팀장) → 성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자유 관람) 또는 포도 호텔(박재연 학예팀장) → 유동룡미술관(박재연 학예팀장)

본 저작물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박물관·미술관, 만나고 즐기며 거닐어 보자’ 저작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https://www.mc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